
윤석열 전 대통령이 26일 법정에 모습을 드러냈다. 내란 특별검사팀이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추가 기소한 사건의 첫 공판에 출석한 것이다. 지난 7월3일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 나온 지 85일 만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부(재판장 백대현)는 이날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이 받는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등 사건의 1차 공판과 보석 심문을 열었다.
재판 시작 직전 윤 전 대통령은 정장 차림에 짧게 머리를 깎은 모습으로 법정에 입장했다. 왼쪽 가슴에는 수용번호 ‘3617’이 적힌 명찰을 달았다. 그는 먼저 들어와 있던 변호인들에게 손짓으로 인사를 건넸고, 피고인석에 앉은 뒤 방청석을 잠시 둘러보며 눈길을 주기도 했다. 재판정 내부는 전직 대통령의 출석을 지켜보려는 방청객들로 채워졌고 긴장된 분위기가 감돌았다.
재판장이 인정신문에서 “피고인 성명이 어떻게 됩니까”라고 묻자 윤 전 대통령은 “윤석열입니다”라고 말했다. “생년월일은 어떻게 됩니까”라는 질문에 윤 전 대통령은 “60년 12월18일”이라고 대답했다. 이어 “국민참여재판을 희망하지 않는 게 맞습니까”라는 재판장의 질문엔 말 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이날 재판에서는 피고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인정신문 후 특검팀과 윤 전 대통령 측의 모두 진술이 이뤄진다.
이어지는 보석 심문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방어권 보장과 건강 문제를 이유로 불구속 재판의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전 대통령이 직접 발언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특검은 범행의 중대성과 증거인멸 우려 등을 근거로 맞설 방침이다.
재판부의 허가에 따라 법원은 이날 1차 공판 시작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중계한다. 법원은 자체 영상카메라로 촬영한 후 개인정보 비식별화 등을 거쳐 인터넷에 영상을 공개할 예정이다. 다만 보석 심문은 중계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재판부는 이날 불허 사유를 법정에서 설명할 계획이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은 7월10일 재구속된 이후 건강 문제를 이유로 내란 사건 공판에 11차례 연속 불출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