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형 키즈카페가 한강·공원·광장·학교 운동장 등 야외에도 생겼다.
서울시는 주말에만 여는 ‘여기저기 서울형 키즈카페’를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서울형 키즈카페는 시가 역점을 두고 조성하는 공공 실내형 키즈카페다. 2022년 5월 1호점(종로구 혜화동)이 문을 연 이래, 시와 25개 자치구 및 지역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 서울 전역 153곳으로 확대됐고 이용자는 100만명을 돌파했다.
여기저기 서울형 키즈카페는 주말특화형 키즈카페로, 주말에만 설치되는 일종의 팝업 놀이터다. 지난 20일부터 북서울꿈의숲 청운답원, 난지한강공원, 어린이대공원 등 14개 자치구 18곳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규모는 최대 150평가량이다. 기존 실내형 서울형 키즈카페(약 85평)보다 넓다. 가변형 놀이기구를 배치했고, 양육자가 쉴 수 있는 휴식공간도 별도로 마련됐다.
△장애물 통과 놀이기구 △공놀이와 블록쌓기 △버블 만들기 등 아이 협동심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을 장소별로 운영한다.
이용대상은 연 나이 기준 4~9세 아동으로, 1회 2시간씩 총 3회차로 운영된다. 이용료는 아동 1인당 5000원이며, 보호자는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입장 인원은 놀이공간 면적에 해당하는 정원별로 사전예약 50%, 당일 현장접수 50%이다. 사전예약은 ‘우리동네 키움포털’ 누리집에서 할 수 있다. 11월까지 3개월간 시범운영하고, 내년엔 운영 장소와 기간을 늘릴 계획이다.
마채숙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주말마다 아이와 보호자 모두 즐겁게 찾아갈 수 있는 서울시 대표 놀이공간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