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 사태로 정부 전산시스템이 멈춰선 지 엿새째인 1일 복구율이 1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기준 공무원 약 130명,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인력 570여명을 투입해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복구 작업은 업무 영향도나 사용자 수, 파급도 등이 높은 1·2등급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1등급 시스템 복구율은 전날 50%를 넘
어섰다.
반면 전체 647개 중 3분의 2가량 해당하는 3·4등급 시스템 복구는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려 전체 복구율이 크게 오르지 않고 있다.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등 일부 민원서비스만 정상화된 상태다.
정부는 화재가 발생한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 안에 있던 시스템 96개가 전소돼 재가동할 수 없는 만큼 대구센터의 민관협력 클라우드를 활용해 서비스 정상화를 추진 중이다. 정부는 이들 시스템이 정상화되기까지는 4주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같은 층 7·8전산실 내 시스템은 불에 탄 것은 아니지만 분진 영향을 받아 이를 제거한 후 순차 재가동하는 작업이 이뤄질 예정이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일부 시스템의 경우 다수 기관과 정보 연계 등으로 예상된 시간보다 조금 더 걸릴 수 있다는 점도 말씀드린다”며 “장애를 신속히 복구하고, 상황이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