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이 가맹점 보호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성장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산업 내 불균형 구조와 과잉 경쟁, 디지털 전환 지연 등을 지적하며, AI와 데이터 기반 혁신을 통해 본사와 가맹점이 함께 성장하는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2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주관으로 ‘2025 프랜차이즈 미래 혁신 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에는 프랜차이즈 학계·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해 산업 구조 개선, 상생 모델, AI·데이터 활용 방안 등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발제자로 나선 오세조 연세대학교 경영대 명예교수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갑’ 행사가 여전하고, 정보의 비대칭성과 공정성 문제가 여전히 산업의 구조적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있다”며 “차액 가맹금이나 배달앱 수수료 문제 역시 신뢰와 소통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 프랜차이즈 산업은 가맹점 보호에 주요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단순 보호를 넘어 지속적인 성장 정책과의 조화도 필요하다”며 “가맹점 보호와 산업 성장의 균형을 위해선 (가맹본사와 점주 간의) 갑을 관계가 아닌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명균 호서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역시 국내 산업이 외식업 중심의 공급 과잉 구조에 갇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불황기에 매장 확장으로 대응하는 본부의 관행이 시장 과열을 부추기고, 단기 수익 중심의 창업이 폐업률을 높이고 있다”며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을 주문했다.
장 교수는 산업 혁신의 해법으로 데이터와 기술 중심의 구조 전환을 제시했다. 그는 “대부분의 본부가 데이터 전략 조직이나 R&D 역량을 갖추지 못해 AI·디지털 전환이 더디다”며 “본사와 가맹점이 데이터를 실시간 공유하며 협력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양적 성장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 콘텐츠, 경험, IP 중심의 질적 혁신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정부는 산업 전용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R&D 지원 인프라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토론 세션에서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김상덕 경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AI가 프랜차이즈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AI 활용 능력의 격차가 본부와 소상공인 간 불평등을 확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세제 감면, 금융 지원, 보조금 확대 등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AI를 단순 비용 절감 도구로 볼 것이 아니라, 매출 분석, 마케팅 자동화와 같은 혁신이 점주 경영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규태 내일사장 대표도 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이 산업 상생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AI 기반 데이터 수집은 프랜차이즈 상생의 핵심”이라며 “가맹본부는 단순한 브랜드 공급자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 리스크 관리자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공공·금융 데이터를 개방해 창업자와 본사가 함께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산업의 성과 지표를 가맹점 수가 아닌 생존율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의 시각도 더해졌다. 임재원 고피자 대표는 산업의 시야를 국내에서 해외로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국내 외식 시장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이미 마이너스섬 경쟁 구조에 들어섰다”며 “국내에서 경쟁할 때가 아니라 해외로 눈을 돌려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피자는 전체 매출의 60%를 해외에서 올리고 있으며, 정부가 해외 진출을 위한 구체적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