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원은 캄보디아 현지에서 스캠(연애 빙자 사기) 범죄 등에 가담한 한국인이 1000명~2000명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 현안보고에서 이같은 내용을 국회에 보고했다고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이 전했다.
또 캄보디아 경찰청이 지난 6~7월 검거한 전체 스캠 범죄 피의자 3075명 중 한국인은 57명이며, 향후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캄보디아 스캠 범죄 관련 국내로 송환된 이들에 대해 피해자가 아닌 대부분 범죄에 가담한 피의자에 해당한다고 국회에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 카지노 자금 세탁을 하는 데서 머무르던 범죄 조직의 수법은 코로나 이후 국경이 폐쇄되고 중국 등 다국적 범죄 조직이 캄보디아에 침투하면서 스캠 범죄로 진화했다”라고 부연했다.
스캠 범죄단지는 프놈펜과 시아누크빌을 포함해 총 50여 곳이며, 가담 범죄종사자는 약 20만명으로 추산된다. 특히 조직은 2023년 캄보디아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해당하는 약 125억 달러 규모의 범죄수익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국정원은 “비정부 무장단체가 장악한 지역도 있고 경제특구도 산재해 캄보디아 정부의 단속에 어려움이 있다”며 “그래서 우리와 국제 공조도 상당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또 국정원은 최근 캄보디아에서 사망한 한국인 대학생 사건의 주범이 2023년 서울 강남 대치동 학원가에서 발생한 마약 사건의 총책과 공범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고했다.
‘2023년 강남 학원가 마약 사건’은 중국인과 국내 공범 등이 필로폰과 우유를 섞은 이른바 마약음료를 만든 뒤 강남 대치동 학원가에서 집중력 강화 음료라고 시음 행사를 열어 미성년자 13명에게 돈을 뜯어내려 한 사건이다.
국정원은 “주범 행적 및 연계 인물을 캄보디아 측에 지원하고 체포를 위해 추적 전담반을 파견하는 등 공조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정원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현지에서 구조된 스캠 범죄자가 귀국 이후 다시 범죄에 가담하기 위해 재출국하거나 인접국으로 출국하는 경우를 대비해 방안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국내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외교부의 경우는 여권무효화, 법무부의 경우에는 출국금지, 경찰청은 인터폴 적색수배 등 차단 방법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