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 1번지’ 전남 패싱?…“수협 본사 이전·회장 직선제” 압박 [2025 국감]

‘수산 1번지’ 전남 패싱?…“수협 본사 이전·회장 직선제” 압박 [2025 국감]

기사승인 2025-10-27 17:07:13
노동진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수협중앙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특혜대출 의혹과 관련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협중앙회 본부를 ‘수산 1번지’ 전남으로 이전하고, 91개 조합장만 참여하는 회장 선출 방식을 15만 조합원 직선제로 바꿔야 한다는 요구가 27일 국정감사에서 빗발쳤다.

문금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수협 국정감사에서 “수협중앙회가 수산 1번지 전남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의원에 따르면, 전국 수산물의 60%를 생산하는 전남에 본사를 둔 기관은 단 한 곳뿐인 것으로 파악됐다. 해양수산부 산하 및 유관기관의 전국 분포 현황을 보면 △부산 6곳 △서울 5곳 △ 인천·세종 각 2곳  △울산·충남·전남·경북 각 1곳이다. 이들 기관 가운데 어민을 대표하는 수협중앙회, 해양환경 개선사업을 수행하는 해양환경공단, 어촌 개발을 지원하는 한국어촌어항공단까지 모두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다. 수산의 중심지 전남을 배제한 기관 배치의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온 배경이다.

주철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수협 전남 이전론에 힘을 실었다. 주 의원은 “정부가 부산으로 해수부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협중앙회 또한 전국 수산물 생산량의 절반과 양식 수산물 생산량의 76%를 차지하는 명실상부한 수산 1번지 전남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고 밝혔다. 전남은 지구별·업종별로 합쳐 20개 수협 조합이 활동하고 있다. 전체 조합원 약 15만 명 중 1/3 가량을 차지하는 등 수협의 경제적 기반과 조합원의 삶이 전남에 집중돼 있다.

주 의원은 “해운 항만 중심의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는 것처럼, 수협도 수산업의 최일선 현장이자 어민의 삶이 집중된 전남으로 옮겨 오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균형발전과 현장 서비스 증진을 위해 회장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본부 이전 타당성을 공식 검토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노 회장은 “전남이 수산 1번지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고 인정하면서도 “전국 어업인 및 수산인, 조합장들과 협의를 해봐야 할 사항”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다만 “옮겨서 수산업의 미래가 발전될 수 있다면 검토하고 고민해서 답변드리겠다”고 덧붙였다.

“9100명 대 16명, 같은 1표”... 직선제 도입 요구

주 의원은 수협중앙회장 선출 방식 개편도 촉구했다. 그는 “현재 중앙회장은 91개 단위 조합장만 한 표씩 투표해 선출한다”며 “조합원이 9100명이 넘는 조합도 한 표, 16명인 조합도 한 표를 행사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구조에서 중앙회장이 15만 모든 조합원의 뜻을 대변한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농협처럼 조합원 수에 따라 투표권에 차등을 두는 방안도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조합원 모두에게 투표권을 주는 직선제가 수협의 민주성과 대표성을 보장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노 회장은 “회장의 결단만으로 되는 게 아니고 전국 조합과 수산인들의 의견을 반영해봐야 한다”며 “검토해서 가능하다면 하겠다”고 답했다.

최은희 기자
joy@kukinews.com
최은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