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1명은 음주운전 경험이 있으며 2명 중 1명은 과속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도별로 교통문화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였고 울산이 가장 낮았다. 지방자치단체 중 경기 부천시, 충북 제천시, 경남 고성군, 서울 강서구가 그룹별로 교통문화지수가 가장 높은 곳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는 ‘2018년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 우리 국민들의 교통문화 수준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음주 및 과속운전 경험 등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교통문화지수는 국민의 교통안전의식 수준 평가를 위해 4개 그룹(인구 30만 이상과 미만시·군·구)으로 분류한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운전행태·보행행태·교통안전 항목에 대한 지표를 매년 평가(관측·설문·문헌 조사 병행)해 지수화한 것을 말한다.
지난해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평가지표 중 비교 가능한 지표들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지표가 상승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변화의 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해 실태조사에서 신설된 규정 속도 위반 빈도(45.92%), 무단횡단 빈도(37.27%), 스마트기기 사용 빈도(28.7%), 음주운전 빈도(8.84%)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확인돼 국민의 교통안전에 대한 의식개선이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조사에 의하면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은 78.45%로 지난 2017년 79.86% 보다 소폭 감소했고, 최근 5년간 70%대에 머물고 있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방향지시등 점등률(71.51%), 차량신호 준수율(96.54%) 및 보행자 신호준수율(91.15%),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84.60%)은 전년대비 소폭 상승해 점차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방향지시등 점등율은 60~70%대로 아직도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 84.60%는 2017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94%에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어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특히 전좌석 안전띠 착용의 경우 앞좌석 착용 수준은 높았으나 뒷자석 안전띠 착용률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도시부 도로에서 앞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88.08%였으나, 뒷좌석은 32.64%에 불과했다.
또한 지자체의 교통안전 노력을 평가하는 ‘교통안전 실태’는 13점 만점에 3.94점으로 지자체의 교통안전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시·도별로는 제주가 83.37점으로 1위였고 광주, 대구 순으로 교통문화지수가 높았다. 반면 전남과 경북, 울산이 하위권에 머물렀다. 광주의 경우 지난해 81.17점으로 2017년 14위에서 올해 2위로 올라섰다.
국토부에 따르면 제주 등 지수 상위 지자체는 타 시도에 비해 ‘교통안전 실태’ 지표(교통안전 전문성 및 예산 확보, 교통안전 정책 이행 정도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획득해 교통안전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 1위 지자체는 인구 30만명 이상 29개 지자체 중 경기도 부천시가 87.46점으로 1위였고 30만명 미만인 지자체(시) 49개 중 충북 제천시가 82.60점으로 1위였다. 전체 80개 군 지역에서는 경남 고성군이 84.63점으로 1위, 69개 자치구 중 서울 강서구가 84.94점으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토부는 “전국 1위를 차지한 경기도 부천시는 운전 중 스마트기기 사용빈도 및 횡단보도 횡단 중 스마트기기 사용률을 제외한 모든 평가지표에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의 준수율을 보였다. 특히 ‘교통안전 실태’ 지표가 12.38점(전국평균 3.94)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교통문화지수가 매년 상승하고 있는 것은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치사율이 높은 음주 및 과속운전 빈도 등이 높고, 사망자 수가 아직까지 OECD 대비 높은 점 등을 감안해 선진 교통안전 문화가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지자체, 경찰 등과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