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시작으로 캐나다와 호주, 일본, 유럽에서도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 제품에 대한 사용 중지가 가시화되는 모양새다.
지난달 독일 정부가 화웨이의 통신장비 사용을 금지하기 위해 5세대 이동통신(5G) 구축에 필요한 기존의 보안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에 이어, 독일 정부가 (화웨이 측이) 보안위협 최소화를 원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6일 로이터통신은 독일 정부가 5세대(5G) 통신망 구축 사업에서 화웨이의 참여 문제와 관련, 어떤 입장을 취할지 결정하는 과정에 있다면서 총리실 대변인 발언을 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슈테펜 자이베르트 총리실 대변인은 정부가 5G에 대한 보안 위협을 최소화하기를 원한다면서, 5G 구축과 관련된 부처 장관들은 이날 화웨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일본을 방문 중인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전날 화웨이의 5G 구축사업 참여 조건으로 중국 측이 화웨이 통신장비를 통해 독일 내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다는 중국 정부의 보증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보안이슈와 관련한 독일 정부의 화웨이 장비 사용금지 논의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달 17일 독일 정부 관리의 말을 인용해 “독일이 화웨이 장비사용을 금지하기 위해 5G 구축에 필요한 기존의 보안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당시 독일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화웨이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어떻게 보안요건을 개정할 것인지 여러 정부 부처간 분석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독일 연방정보통신안전청(BSI)과 연방통신망중계소는 조만간 통신기반시설에 사용되는 모든 제품을 상대로 BSI 인증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통신망안전법안을 제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또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측은 전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EU 집행위원회와 벨기에 정부 관계자들을 상대로 화웨이 통신장비가 보안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캐나다 정부도 5G 장비 입찰에서 화웨이를 배제할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블룸버그는 캐나다가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5세대(5G) 네트워크 장비 입찰에서 중국 화웨이를 배제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의 국가 안보 보좌관으로 재직했던 리처드 패든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를 통해 “5G 네트워크에서 화웨이의 존재는 국가 안보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 캐나다는 화웨이를 배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 정부는 현재 5G 장비 구매와 관련해 국가 안보 검토에 들어갔지만,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