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국회의원들이 현대중공업의 물적 분할과 본사 이전과 관련해 지역 민심과 우려사항을 전달했다.
정갑윤‧박맹우‧이채익‧김종훈 의원 등은 29일 국회에서 산업은행 성주영 수석부행장을 만나 이러한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오는 31일 주주총회를 열어 물적 분할과 본사의 서울 이전을 결정한다. 의원실 측은 이날 주총은 산업은행의 대우조선해양 주식을 현대중공업에 매각하는 절차에 따라 열리는 것으로, 산업은행도 주총 결정의 당사자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정갑윤 의원은 산업은행이 보유한 대우조선해양 지분 매각과 관련해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이 맺은 MOU에 따르면 사후에 기업결합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경우 계약조건을 재조정 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현재 기업 결합의 부정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드러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산업은행이 그러한 우려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 정 의원은 사태가 더 이상 커지기 전에 산업은행이 최대한 빨리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박맹우 의원은 현대중공업의 물적 분할, 본사 이전에 대한 울산시의 분위기가 생각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을 전달했다. 박 의원은 “현대중공업 본사를 서울로 옮겨간다는 소식에 주민들의 상실감이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또 박 의원은 울산시민들의 분위기를 전달해서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종 조율자가 누구인지를 물으면서 그에 대한 산업은행의 입장이 무엇인지도 확인했다. 그는 “관련 결정권자들이 문제를 빠르게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햇으며, 이에 대해 산업은행 성주영 수석 부행장은 “지역의 우려 사항을 현대중공업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이채익 의원은 현재의 상황에 산업은행의 책임 가장 크고 문제의 중심에 있다는 사실을 산업은행은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물적 분할 방안에 따르면 울산에 남는 현대중공업은 자산의 많은 부분을 한국조선해양에 떼 주고 부채는 대부분 가져 오는 구조로 돼 있는데, 이는 산업은행이 지역과 산업을 고려하는 등 자기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한 탓이 크다”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 “산업은행이나 현대중공업이 거제와 울산 눈치 보기를 하다 결국 한국조선해양 본사를 서울로 가기로 한 것 아닌가”라고 물으며 “이런 식의 결정은 누구에게도 도임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종훈 의원도 2015년 조선산업 구조조정 이후 3만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구조조정을 당한 현실을 상기시켰다. 그러면서 “현대중공업은 물적 분할 주주총회를 곧 하는데도 아직 기업결합 승인서마저 제출하지 않은 상태”라며 “시간이 있는데 물적 분할을 이렇게 서두르고 무리를 하는 이유는 무엇이냐”고 물었다.
또한 물적 분할이나 본사 이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산업은행이 분석을 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물었다.
성주영 수석부행장은 우려사항을 현대중공업에 전달하겠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하면서 물적 분할과 본사 이전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해보지 않았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울산 지역의 의원들은 오늘 모임 외에도 다양한 형식을 통해 현대중공업 불적 분할, 본사 이전의 문제점들을 관련 단위에 지속적으로 전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