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인천신항 항만배후단지(1단계 2구역) 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민간 컨소시엄 (가칭)인천신항배후단지㈜가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인천신항 항만배후단지(1단계 2구역) 개발사업은 약 2000의 민간사업비가 투입돼 2022년까지 토지 및 기반시설(전기‧통신‧상하수도 등) 조성 공사를 마치고, 2023년부터 고부가가치 물류‧제조기업에 배후단지를 공급하기 위해 추진된다.
이번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된 인천신항 배후단지㈜는 HDC현대산업개발(주) 45%, ㈜늘푸른개발 30%, ㈜토지산업개발 20%, 활림건설(주) 2.5%, 원광건설(주) 2.5%의 지분으로 출자된 컨소시엄이다.
지난 2018년 6월 민간이 최초로 사업을 제안한 이후, 해양수산부는 항만법에 따라 2019년 3월에 제3자 제안공모를 실시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
해수부는 제3자 제안공모에 따라 (가칭)인천신항 배후단지㈜가 단독 제출한 사업제안서에 대해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들이 개발‧재무‧관리운영 3개 분야의 추진계획을 지난달 28일 평가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평과 결과 분야별 배점의 60%, 총점 80점 이상의 평가기준을 모두 만족하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번 사업대상지는 인천신항 1단계 배후단지 면적 214만㎡ 중 2구역 94만㎡이며, 주요 도입시설은 복합물류 및 제조시설, 업무 편의시설이다. 1구역(66만㎡)은 올해 12월 준공될 예정이며, 현재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인천항만공사(IPA)가 입주기업을 모집 중이다.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1종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배후단지 개발 완료 이후 분양이 이뤄져 상부시설까지 완공될 경우 3조4175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400여 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측됐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