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 박용만 회장이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에게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와 관련 “한국와 일본 기업들이 상호 약속과 거래를 지킬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요청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9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를 방문해 박용만 회장과 일본 수출 규제와 관련한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원내대표는 “얼마 전부터 일본이 수출규제를 취하기 시작했는데 단지 일본의 국내 정치용, 총선 겨냥을 넘어 중장기화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며 우려의 뜻을 전하고 “경제인들이 어떻게 진단하고 어떤 해법을 가지고 있는지, 혹시 있다면 지혜를 구하려는 마음으로 찾아뵙게 됐다”고 말했다.
이에 박 회장은 “제가 아는 일본 기업은 모두 고객과의 약속을 소중히 여기는 분들이다. 약속을 저스트 인 타임(Just in time)으로 지키는 게 무엇보다 일본 기업의 강력한 경쟁력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이어 박 회장은 “정치가 기업으로 하여금 약속을 어기게 만드는 것이 과연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가 하는 질문에 저는 답을 내리지 못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박 회장은 “경제 교류는 단순 교류가 아니라 약속이며 거래다. 기업은 모두 국적이 어디든 이를 가장 소중하게 여긴다. 일본 기업은 특히 약속을 대단히 소중히 여긴다. 이 약속과 거래를 한일 기업이 상호 지킬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이 원내대표에게 요청했다.
이어 두 사람은 비공개 대화를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위기가 기회인 것처럼 이번이 소재‧부품‧장비 관련 산업 집중 육성 계기가 되지 않겠느냐. 대기업이 선단을 이뤄서 나아가야 한다”고 이 원내대표가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일본 기업도 우려스러워하는 게 사실”이라며 “삼성, LG 등 반도체와 관련해 우리나라보다 더 큰 고객은 없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일본 기업에도 좋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박 회장은 “그간 효율성 때문에 부품‧장비를 일본에서 수입했는데 정부가 조금 더 도와주면 대기업에서도 공급 다변화를 이룰 좋은 계기가 되지 않겠느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