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대한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여파로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이 0.4% 가량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15일 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로 한국의 반도체 생산이 10% 줄어들 경우 국내총생산(GDP)은 0.4% 감소하고, 연간 경상흑자는 100억 달러(약 11조7820억원)가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 아이린 최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반도체 공급 차질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반도체 생산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지면 한국 GDP와 경상수지에 주목할 만한 하방 리스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일본의 수출규제 대상인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등 3개 품목은 반도체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생산에 차질을 줄 핵심 소재”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어 아이린 최 연구원은 “일본 측이 전면적인 수출 금지를 발표한 것은 아니지만, 한국의 일본산 에칭가스 수입이 전면 중단되면 수입 에칭가스의 44%를 대체해야 한다. (대체에 실패해) 반도체 수출이 44% 줄 경우 들면 한국의 전체 수출은 8%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보고서에 따르면 한일 간 긴장이 높아져 수출 감소가 반도체 외 정보기술(IT) 산업과 자동차‧화학 등 다른 품목으로 확산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이들 품목의 수출이 10% 감소할 경우 1년간 경상흑자 규모는 320억 달러(약 37조7088억원)로 줄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아이린 최 연구원은 “일본의 수출 규제는 한국산 IT 수입 제품에 기반한 수출이 GDP의 0.9%를 차지하는 베트남을 비롯해 중국‧말레이시아‧대만 등에도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일본의 전체 물품 수출에서 한국의 비중이 약 7%인 점을 고려하면 일본 업체들도 의미 있는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일본 방문 관광객 중 한국인 비중은 25%로 중국(약 27%)에 이어 2위”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일본의 이번 수출 규제가 한국을 27개 백색 국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원론적으로는 대다수 수입국과 비슷한 절차를 거쳐 수입할 수 있다는 점, 향후 한일 간 대화 가능성과 (한국 측의) 수입대체 조치를 고려하면 한국에서 눈에 띄는 (일본산 소재) 공급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아이린 최 연구원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에 못 미치고 내년 중반까지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인하돼 원화가 약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여기에 일본 수출 규제로 GDP·경상수지가 (추가) 하락할 경우 원화 약세를 뒷받침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