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생산과 소비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투자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2분기에는 생산과 소비, 투자 모두 지난 1분기와 작년 2분기 보다 증가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국내 전산업 생산은 지난 5월보다 0.7% 감소했다.
6월 전산업 생산은 광공업에서 증가했으나,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줄어 5전월에 비해 0.7% 감소했다.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광공업과 건설업에서 생산이 줄면서 1.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야별 생산에서 광공업의 경우 자동차는 -3.3% 감소했다. 반면 D램 등의 생산이 늘어난 반도체가 4.6% 늘었고, OLED 등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이 증가한 전자부품도 3.2% 늘어 광공업생산은 전월에 비해 0.2% 증가했다.
지난해 6월과 비교해 광공업생산은 2.9% 감소했다. 기타운송장비(15.5%) 등은 증가했고, 기계장비(-8.3%), 화학제품(-8.2%) 등이 감소했다.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0.9% 감소했고 전년동월대비 6.1% 증가했다.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1.9%로 전월과 동일했다.
서비스업생산은 교육(0.8%) 등에서 증가했으나 정보통신(-4.2%), 도소매(-1.6%) 등이 줄어 전월에 비해 1.0% 감소했다. 정보통신의 경우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컴퓨터‧시스템통합 및 관리업 등에서 줄었다. 도소매도 소매판매 감소 영향 등으로 도매업, 소매업, 자동차 판매가 감소했다.
다반 서비스업생산은 지난해 6월보다 0.1% 증가했다. 작년 6월 대비 도소매(-1.1%) 등에서 감소했지만 보건‧사회복지(6.8%),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3.5%) 등이 증가했다.
소비의 경우는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3.9%), 의복 등 준내구재(-2.0%),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3%)가 모두 줄면서 5월보다 1.6% 감소했다. 승용차의 경우 신차 출시에 따른 기저 효과와 하반기 출시예정 수요대기 등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1.9%)는 줄었으나, 화장품 등 비내구재(1.9%), 의복 등 준내구재(3.8%) 판매가 늘면서 소매판매는 1.2% 증가했다.
소매업태별 판매는 전년동월대비로 슈퍼마켓 및 잡화점(-6.3%),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2.9%), 전문소매점(-1.9%), 대형마트(-6.4%)는 줄었고 무점포소매(12.7%), 면세점(26.3%), 백화점(6.5%), 편의점(2.7%)은 늘었다.
설비투자는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0.4%) 및 선박 등 운송장비(0.6%) 투자가 모두 늘면서 5월 대비 0.4% 증가했다. 지난해 6월과 비교해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8.1%) 및 자동차 등 운송장비(-12.9%) 투자가 모두 감소한 영향으로 9.3% 줄었다.
국내기계수주는 전기업 등 공공 및 기타운송장비 등 민간에서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5.8% 감소했고, 건설기성은 건축(0.8%)은 증가했으나 발전소 등 전기기계 공사실적이 감소한 토목(-3.6%)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지난해 6월과 비교해 건축(-7.9%) 및 토목(-1.9%)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6.3% 감소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경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수입액, 비농림어업취업자수 등이 증가했고 소매판매액지수, 건설기성액 등이 감소하여 전월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수출입물가비율, 구인구직비율 등이 증가했지만 건설수주액, 장단기금리차 등이 감소하여 전월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2분기 생산‧소비‧투자는 1분기와 지난해 2분기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전산업생산은 광공업 등에서 늘어 전분기대비 0.5% 증가했고 전년동분기대비 0.3% 늘었다. 광공업 생산은 화학제품, 1차금속 등에서 감소했지만 반도체와 통신‧방송장비 등이 늘어 전분기대비 1.2% 증가했고 전년동분기대비 0.8% 감소했다. 광공업 출하는 전분기대비 0.1% 늘었고 지난해 2분기 보다는 1.4% 줄었다. 올해 2분기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2.2%로 전분기에 비해 0.4%포인트 상승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 예술‧스포츠一c여가 등이 줄었으나 보건‧사회복지,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등이 늘어 전분기대비 보합, 전년동분기대비 1.4% 증가했다.
올해 2분기 소비동향의 경우 소매판매액지수는 가전제품 등 내구재는 줄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 화장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늘었다. 이에 따라 2분기 소매판매익지수는 전분기대비 1.0%, 전년동분기대비는 2.0% 증가했다.
소매업태별로는 전년동분기대비 슈퍼마켓‧잡화점(-5.8%), 전문소매점(-1.8%), 대형마트(-5.4%), 승용차‧연료소매점(-0.6%)은 감소했고 무점포소매(14.2%), 면세점(25.5%), 백화점(3.5%), 편의점(3.8%)은 증가했다.
지난 2분기 설비투자는 1분기 보다 1.1% 늘었으나 지난해 2분기보다는 8.8%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1.7%) 투자는 감소했고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2.0%) 투자가 늘었다. 국내기계수주는 자동차 등 민간부문(2.7%)에서 증가했지만 전기업 등 공공부문(-42.4%)에서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0.6% 감소했다.
건설기성(불변)은 토목(4.3%)은 증가했고 건축(-4.8%) 공사 실적이 줄어전분기대비 2.6%, 전년동분기대비 7.3%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발전‧통신 등 토목(-12.1%) 및 공장‧창고 등 건축(-2.8%)에서 모두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4.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