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는 31일 연결기준 올해 상반기 매출 4013억 위안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날 화웨이가 발표한 상반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4013억원(한화 약 68조8700억원, 583억 달러)으로 지난해 상반기 보다 23.2% 증가했다. 또 순이익률은 8.7%로 집계됐다.
화웨이 이사회 량화(梁華) 의장은 이날 “지난 상반기 동안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운영과 조직 관리에 주력했다. 재무지표가 양호하고 안정적이어서 견실한 경영을 이뤘다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통신장비와 유무선네트워크 분야인 캐리어 비즈니스 사업 부문은 매출 1465억 위안(한화 약 25조1400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네트워크, 옵티컬 전송, 데이터 통신 등의 생산과 출하 상황은 전체적으로 양호했다. 화웨이 측은 올해 7월 기준으로 전 세계에 걸쳐 50개의 5G 상용화 계약을 맺었고 누적 15만개 이상의 기지국을 출하했다고 설명했다.
기업‧정부 통신장비 분야인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사업부는 매출 316억 위안(한화 5조4200억원)을 달성했다. 화웨이는 클라우드, AI, 엔터프라이즈 캠퍼스, 데이터센터, IoT, 인텔리전트 컴퓨팅 등 ICT 기술과 솔루션을 끊임없이 강화하며, 정부와 공공 부문, 금융‧교통‧에너지‧자동차 등 각 산업의 고객으로부터 지속적인 신뢰를 얻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폰 등을 담당하는 컨슈머 비즈니스 사업부 상반기 매출은 2208억 위안(한화 37조8900억원)을 달성했다. 같은 기간 아너를 포함한 화웨이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1억1800만대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24% 증가했다.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출하량도 크게 늘었다.
풀 시나리오 스마트 에코시스템 설계 역량은 기본적인 체계와 내용을 갖췄다. 전 세계 화웨이 디바이스 클라우드 서비스 에코시스템 개발자는 이미 80만명을 넘어섰으며, 5억명의 사용자 수를 기록했다.
량화 의장은 “지난 5월 이전까지 화웨이의 매출은 비교적 빠른 성장 추세를 보였으며, 미국의 거래 제한 기업 리스트 이후에도 시장의 관성에 힘입어 성장세를 유지했다. 여전히 직면한 큰 어려움은 있지만 화웨이가 전진하는 흐름에 일시적 영향을 줄 지언정 나아가려는 방향을 바꾸지는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량화 의장은 “화웨이는 미래에 대한 자신감으로 지속적 투자를 이어갈 것이다. 올해에만 연구개발(R&D)에 1200억 위안(한화 약 20조6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지금의 어려움과 도전을 거쳐 새로운 발전의 시대로 진입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