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끌고 ‘엑시트’ 밀고 영화부문 영업이익 흑자 전환
CJ ENM이 미디어(방송)부문의 광고 매출 증가‧콘텐츠 판매 상승과 ‘기생충’‧‘엑시트’ 등 영화부문 흥행에 따른 영화부문 흑자 전환 등에 힘입어 2분기 사상 최대 분기 경영실적을 달성했다.
CJ ENM은 2019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2604억원, 영업이익 96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20.1%, 영업이익은 22.3% 증가한 수치다.
CJ ENM 측은 “2분기 대내외적으로 악화된 시장 환경에도 불구하고, 사업 기초와 전 사업부문의 경쟁력을 꾸준하게 강화해 사상 최대의 경영 실적과 수익 성장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미디어 부문의 경우 2분기 매출 42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4% 늘었고, 영업이익도 365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보다 25.1% 증가했다.
CJ ENM 측은 ‘아스달 연대기’, ‘스페인하숙’ 등 오리지널 콘텐츠의 TV광고 매출이 지난해 2분기 대비 21.4% 증가했고, 디지털 콘텐츠 제작 확대를 통한 DIA TV, 티빙, tvN D의 디지털 광고 매출도 작년 보다 32.4%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 ‘강식당2’ 등 콘텐츠 판매 매출도 지난해 2분기 보다 71.9%나 증가하며 사상 최대의 광고 매출과 콘텐츠 판매 매출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하반기에도 ‘호텔 델루나’, ‘날 녹여주오’, ‘사랑의 불시착’ 등을 통해 콘텐츠 경쟁력 기반의 사업성장을 강화하고, 수익성 제고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커머스 부문의 경우 취급고 1조183억원으로 3분기 연속 1조원 대를 기록했다.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576억원과 3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 16.3%와 6.2% 증가했다. ‘엣지’, ‘셀렙샵’, ‘오하루 자연가득’ 등 단독 브랜드의 호조와 고수익 상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여름 시즌상품의 전략적 편성으로 외형과 수익 모두 성장하는 실적을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CJ ENM은 하반기에는 패션 성수기에 맞춰 ‘VW베라왕’, ‘지스튜디오’ 등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를 강화하고, 차별화된 편성 전략과 단독 브랜드를 강화해 외형과 수익 모두 성장시켜 나갈 계획이다.
영화 부문은 기생충이 누적 1000만 관객을 넘어서며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됐다. 영화부문 2분기 매출 6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2% 늘었고, 영업이익은 100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
한국 영화로는 처음으로 칸 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기생충’이 누적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극장 매출은 전년 대비 234.8% 증가한 415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한국 영화 관객 점유율 54%를 기록했다. 하반기에도 ‘엑시트’와 ‘나쁜녀석들: 더무비’ 등 국내에서 선보이는 콘텐츠를 비롯해 미국, 태국 등 해외시장에서도 자체 기획 콘텐츠를 확대해 작품성과 흥행성 모두 강화한다는 목표다.
음악 부문은 ‘아이즈원’, ‘BTS’, ‘몬스타엑스’ 등의 콘서트 매출이 역대 분기 매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음악 부문 2분기 매출은 1538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 보다 무려 131.2% 늘었다. 영업이익도 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했다.
CJ ENM 관계자는 “프리미엄 콘텐츠를 기반으로 디지털을 포함해 국내외에서 광고 및 콘텐츠 유통을 확대하고, 커머스 부문은 자체 브랜드의 상품 경쟁력과 고수익 상품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겠다”며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IP 수익 모델 확장을 통해 수익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콘텐츠 커머스 기업으로의 성장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