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미국 현지 반도체 공장에서 5G 기술을 활용 반도체 생산성 향상을 위해 美 이동통신업체 AT&T와 협력에 나섰다는 보도가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반도체 공장에서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이용해 반도체 생산을 개선할 방안을 실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실험 목적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은 “5G가 단순한 유행어 이상임을 입증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미국 이동통신업체 AT&T 협력을 통해 수백만 달러를 투자하고, 맞춤형 5G 통신망을 개발 반도체 생산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실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생산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과 유해 화학물질이 사용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5G가 이 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줄이고 근로자들에게 안전위험을 경고해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미주법인 앨록 샤 부사장은 일례로 “5G가 도입되면 공기질 탐지 센서를 더 많이 설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센서에서 나온 데이터를 5G망으로 실시간 전송하면 통제소에서 즉각 심각한 공기 오염을 감지하고 직원들이 대피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앨록 샤 부사장은 “(5G가 아닌) 다른 기술은 좁은 공간에서 수천 개의 센서를 지원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펌프나 밸브 등에 설치된 센서는 실시간으로 물 사용량을 점검해 물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폐기물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직원들은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착용하고 안내를 받으며 공장 설비 수리도 가능해진다. AT&T의 최고기술책임자(CTO) 안드레 푸이치는 5G 연결의 최대 수혜자가 공장들이 될 것이라면서, 오늘날 통상적인 공장들이 안고 있는 많은 와이파이(Wi-Fi) 문제를 해결하는 데 5G는 훌륭한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