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보급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지만, 충전 인프라는 여전히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전기차 이용자들은 충전기 접근성이 낮아 여전히 불편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환경부와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에 따르면 올해 7월말 기준 국내 전기차 신규 등록대수는 11만8705대로 전년동기(8만620대) 대비 약 47.24% 증가했다.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는 2021년(23만8063대)과 비교해 약 3.5배 증가한 83만761대로 집계됐다.
전기차 충전기 설치도 함께 늘었다. 2021년 9만4041기였던 전국 충전기 수는 2025년 8월 6일 기준 41만7437기로, 약 4.4배 확대됐다.
하지만 지역별 격차는 여전하다. 전국 전기차 등록대수 중 수도권 비중은 약 30% 수준인 반면, 충전기 설치는 수도권에 절반 가까이 집중돼 있다. 서울에 설치된 충전기는 6만2692기(15.0%), 경기도는 12만829기(28.9%), 인천은 2만4044기(5.8%)로, 수도권 3개 지역의 충전기를 합하면 총 20만7565기로 전체의 약 49.7%에 달한다. 이는 2021년(44.2%)과 비교했을 때, 수도권 쏠림 현상이 오히려 심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방 소도시에서는 운전자들이 전기차 충전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해 한국한경공단이 17개 시도 전기차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전기차 사용 시 불편 사항으로는 여전히 ‘충전’(29.0%)을 가장 많이 꼽았다. 특히 공용 충전시설이 부족하다는 응답률은 44.9%에 달했다.
이와 관련 환경부 관계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완속 충전기가 설치되다 보니, 수도권에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라며 “충전기 설치에는 보조금도 지급하고 있고, 환경부가 직접 필요한 지역에 설치해주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구도심 등 일부 지역은 충전기가 부족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어떻게 하면 적재적소에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을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에는 예전에 설치된 충전기의 품질이 좋지 않아 고장이 잦은 편”이라며 “부품 측면에서도 고장이 나지 않도록 하고, 이를 어떻게 산업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환경부 6일 금한승 차관 주재로 지방자치단체(17개 시·도) 및 한국환경공단 등과 함께 전기차 보조금 집행상황을 점검하고, 2025년도 전기차 보급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개선방향 등을 논의하는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금 차관은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국내 전기차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보조금을 비롯한 지원 정책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라며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보조금 집행상황을 개선하는 등 2025년도 전기차 보급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고, 이를 통해 국내 전기차 보급동력 확보 및 보급이 가속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