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세 미만 젊은 세대의 당뇨병 유병률이 13년간 4배 넘게 증가했다는 대규모 데이터 활용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 2008~2021년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의 임상·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국내 최초로 국제 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13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활용한 국내 최장기간 및 최대 규모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연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은 2013년 인구 10만 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2.2배 늘었다. 유병률은 같은 기간 73.3명에서 270.4명으로 약 4배 급증했다. 1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유병률은 21.8명에서 46.4명으로 2배 이상 올랐다.
비만 유병률이 높아지면서 당뇨 환자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뇨병은 1형과 2형으로 나뉘는데, 환자의 대부분은 비만·운동 부족 등의 요인으로 인슐린 저항성(체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는 2형 당뇨병이다. 반면 1형은 자가면역 기전으로 췌장의 베타세포가 대부분 파괴돼 인슐린을 거의 생성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인슐린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성별에 따른 유병률 차이를 보면, 1형 당뇨병은 여성에서 26% 더 많았다. 2형 당뇨병은 남성 유병률이 17% 더 높았다. 연령대별 2008년 대비 2021년의 발병률은 1형 당뇨병의 경우 영유아기(0~5세), 2형은 청소년기(13~18세)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 당뇨병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이 중·고소득층에 비해 1형 당뇨병이 2.9배, 2형 당뇨병이 3.7배 더 많이 발생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면서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의 건강 형평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