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차기 사장 인선 지연 우려...항공우주 산업 전반 공백·혼란 현실화

KAI 차기 사장 인선 지연 우려...항공우주 산업 전반 공백·혼란 현실화

기사승인 2025-08-26 11:51:01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차기 사장 인선이 지연되면서 회사와 국가 전략산업인 항공우주산업 전반에 공백과 혼란이 확대되고 있다고 KAI 노조가 지적하고 나섰다.

당초 강구영 사장의 임기 만료 시점인 9월 초 전후로 인선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대통령 해외 순방 일정과 최대 주주인 수출입은행장 인선 지연이 겹치며 KAI 사장 인선도 지금까지 제자리걸음이다. 

사장 부재로 인한 부작용은 이미 현실이 되고 있다. KF-21 양산 준비, FA-50 수출, 수리온, MRO(유지·보수·정비) 사업 등 핵심 사업이 줄줄이 늦춰지고 있으며, 수천억 원 규모의 수출 협상도 결론을 내리지 못해 현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실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고, 업계는 방산 수출 계약 실행 지연이 원인"이라며 "주가 역시 수출 일정 차질 우려가 반영되며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는 "단순한 인사 지연이 아니라, 국가 전략산업을 무너뜨리는 심각한 위기다"며 "특히, 정부가 관리 책임을 다하지 못한 채 시간을 허비하는 사이, 사장 공백이 길어질수록 주요 사업은 표류하고 회사와 항공우주산업의 위기는 더 깊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AI 기반 K-방산 글로벌 4 대 강국(G4)' 실현을 약속했다. 그러나 정권과 여당은 KAI 를 감사 대상으로 지목하며 사장을 조기 퇴임 시키는 결과를 초래했고, 그 결과 회사를 이끌 리더가 사라져 주요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며 "분명한 사실은, 사장이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이 낫다. 대안도 없이 사장 퇴임을 압박한 정치권과 이를 방치한 정부가 현 사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는 더 이상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책임 있는 인사를 통해 국민과 임직원의 눈높이에 맞는 KAI 사장 인선을 조속히 마무리해야 한다"며 "KAI 노동조합은 국가 방위산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정부가 현명하고 신속한 결정을 내려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사천=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
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
강연만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