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업계가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돕기 위해 무상보험 지원에 나선다. 생명·손해보험업계가 각각 150억원씩 총 300억원 규모의 상생 기금을 조성해 보험료를 전액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날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미래에셋생명,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NH농협손해보험 등 8개 보험사 최고경영자와 함께 ‘보험업권 상생상품 활성화 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약은 보험업계가 상생상품을 무상 공급해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과 사회 안전망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업계는 △신용보험 △상해보험 △기후보험 △풍수해보험 △화재보험 △다자녀 안심보험 등 6대 대표상품을 중심으로 보험료를 전액 지원한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의 재해 극복과 경제활동 안정, 다자녀 가정의 의료·생활 안전망 강화를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예컨대 풍수해보험은 최대 90만명, 다자녀 안심보험은 최대 24만명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상생상품 운영을 통해 소상공인이 자연재해나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고, 취약계층도 병원 진료를 안심하고 받을 수 있다는 게 금융당국의 기대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번 6개 상생상품 선정은 소상공인 민생 회복과 저출산 지원에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상생상품은 전국 17개 시·도와 협력해 맞춤형으로 운영된다. 지자체가 지역 경제 여건과 특성에 맞는 상품을 직접 선택할 수 있으며, 일부 재원도 분담한다. 특히 인구감소 지역 등에는 상생기금 지원 비율을 높여 지역 균형발전 효과를 꾀한다. 금융위는 올해 3분기 내 1호 지원 지자체를 선정하고, 실무 작업반을 운영할 계획이다.
보험업계는 이번 상생상품을 계기로 신용보험, 기후보험 등 인지도가 낮아 활성화되지 못했던 상품의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금융당국 역시 ‘보험업권 상생사업’을 브랜드화해 후속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권 부위원장은 “보험업권이 상생의 길을 걸어갈 수 있도록 금융당국도 법적·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보험업권이 국민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선도 금융업권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