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6만 인구 양산시는 경남도에서 창원, 김해시에 이어 인구 3위의 중견도시로 성장 중인데 생활권이 다른 웅상 지역에 자치군을 설치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양산시의회 최다선 의원인 박일배 시의원(국민의힘, 덕계·평산)은 1일 시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박 의원은 경남 의령군이 인구 2만여명인데 반해 인구 9만4천여 명의 웅상출장소가 자치군 설립이 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5분 자유발언에서 "웅상은 양산시 출장소라는 체제아라 사실상 독립적인 행정 권한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했다. 주민들은 수십년 동안 불편과 소외를 감내하며 살았다. 웅상은 양산인구 26%를 차지하지만 웅상에 투입된 주요사업 예산은 17.9%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 의령군이 공무원 650명인데 비해 웅상 공무원은 200명으로 양산시 공무원 숫자의 15%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웅상 지역 주민들로부터 자치군 설립 주장이 제기되는 배경은 이른바 '웅상 서자론'이 한 몫한다. 웅상에서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부산시 또는 울산시에 편입하자는 주장이 심심찮게 나왔다. 이 때문에 양산시 행정은 '퍼스트 웅상, 동부양산' 등의 용어를 사용하며 웅상 주민에 일체감을 주고자 한다.
양산시 웅상출장소 관할인 덕계동, 평산동, 서창동, 소주동 등이 웅상읍에서 분동돼 설치됐다. '웅상'이라는 향토 지명을 넣은 웅상출장소 명칭 변경이 추진됐을 때 지역주민들로부터 심한 발발이 나오기도 했다.
'웅상' 지역주민들이 자치구 설립을 주장하는데는 최근 지역에 노포동과 울산KTX역을 잇는 부울경광역철도망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인구 유입이 이뤄지는데 따른 자신감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웅상행정타운에 추진되던 동부경찰서 및 소방서 설치가 첫삽을 뜨는데까지 5년 넘게 소요된 것도 작용했다.
박일배 시의원은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웅상은 월경지역으로 소외감이 크다. 주권자인 주민이 웅상군 설립을 원한다. 관련 법령에 웅상군 설립을 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 경남도에서도 18개 시군이 19개로 늘어 환영할 것이다"며 "자치군으로 전환되어야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을 스스로 수립할 수 있다. 웅상군 전환 당위성을 입증하기 위한 타성성 조사를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