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혁신당에서 발생한 성희롱·성추행 등 성비위 사건으로 당과 피해자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관계자들의 탈당으로 불씨가 번지고 있다.
강미정 조국혁신당 대변인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내 성비위 건 고발 및 탈당’ 기자회견을 열고 당의 미온적인 대처와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에 항의하며 탈당을 선언했다.
강 대변인은 “저는 오늘 조국혁신당을 떠난다”며 “(검찰개혁을 향한) 길 위에서 제가 마주한 것은 동지라 믿었던 이들의 성희롱과 성추행·괴롭힘, 그리고 외면하거나 모른 척하던 시선들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당 윤리위와 인사위는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들로 채워져 있었고, 외부 조사기구 설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사건이 접수된 지 다섯 달이 되어 가는 지금까지도, 당의 피해자 지원 대책은 그 어떤 것도 마련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강 대변인은 “당내 성추행 및 괴롭힘 사건의 피해자 중 한 명은 지난 달 당을 떠났다”며 “해당 사건과 관련해 당의 쇄신을 외쳤던 세종시당 위원장은 지난 1일 제명됐다. 함께 했던 운영위원 3명도 징계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해자를 도왔던 조력자는 ‘당직자 품위유지 위반’이라는 징계를 받고 며칠 전 사직서를 냈다”며 “성비위 문제를 여성위원회 안건으로 올렸던 의원실 비서관은 한 당직자로부터 폭행을 당했다. 사건은 검찰에 송치됐지만, 그는 소(訴) 취하를 종용받고 있다”고 발언했다.
기자회견을 연 이유에 대해서는 “저보다 어린, 사회 초년생 피해자들의 도와달라는 목소리가 들려왔다”며 “당 여성위원회 부위원장이자 선배로서 져야 할 책임이라고 믿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조국혁신당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강 대변인의 기자회견에 대해 반박했다.
조국혁신당은 “당은 성비위 및 괴롭힘 사건과 관련 당헌·당규에 따라 피해자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한 관련 절차를 모두 마쳤다”며 “피해자측 요청으로 외부기관이 조사를 전담해 진행했고, 당 외부인사로 구성된 인권특위의 점검도 받았다”고 언급했다.
조국혁신당에 따르면 당은 지난 4월 성추행·괴롭힘 사건 신고를 접수했으며, 5월 피해자 측과 외부조사기관 조사를 진행했고 ‘인권 향상 및 성평등 문화 혁신 특별위원회’(인권특위)를 설치했다. 6월에는 외부조사기관 조사 결과를 수용해 윤리위 징계절차에 착수했다. 특히 7월부터 지난달까지는 인권특위 결과보고와 원고 이행을 위한 당내 ‘특위 권고사항 이행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으며 윤리위·인사위에서 가해자 징계를 완료했다는 설명이다.
피해 지원이 미흡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당은 특위 권고를 전폭적으로 수용했다”며 “피해자 측 추천 1인, 여성위원회 추천 1인의 TF를 구성해 인권특위가 권고한 당규 제정안을 마련하고 당 최고위원회는 TF가 마련한 당규를 제정하기로 의결했다”고 강조했다.
윤리위·인사위 구성이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로 채워졌다는 주장과 관련해서는 “오해 받을 소지가 있는 위원은 모두 절차에서 회피했다”며 “윤리위원회는 외부 인사가 다수인 구조이고, 이 사건은 외부인사가 책임을 맡아 진행했다”고 밝혔다.
윤재관 조국혁신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 이후 기자들에게 “(강 대변인의 주장은)일방적 주장”이라며 “지난 4월에 관련 사건 접수된 이후에 부족함이 있었겠지만, 당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 다 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날 강미숙 조국혁신당 고문은 강 대변인의 기자회견 후 “이번 사건은 성비위 2건과 직장내 괴롭힘 1건으로 시작했다”며 “처음 저희(여성위)가 요구한 것처럼 진상조사·전수조사 대책 마련이라고 하는 기본적인 메뉴얼 그대로 진행했다면 이렇게 파장이 커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렇게까지 만든데에는 궁극적으로 이런 사태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당의 책임이 있다고 본다”며 “사건 즉시 마련됐어야 하는 피해자 보호 조치가 되고 있지 않다는 게 이 사건을 대하는 당의 본질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