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주 주가가 동반 상승하고 있다. 정부가 전날 주택공급을 확대하는 내용의 대책을 발표하면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9월8일 오전 10시15분 현재 태영건설은 전거래일 대비 5.6% 오른 1903원에 거래되고 있다. 동부건설은 6.51%, 금호건설 9.92%, 일성건설 11. 71% 강세다.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도 1%대 상승세다.
정부는 전날 향후 5년간 서울‧수도권에 5년(2026년~2030년)간 총 135만호, 연간 27만호 규모의 신규 공급(착공)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급 목표는 그동안 인허가 기준으로 공급 물량을 산정해 실제 준공까지 이어지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들여 ‘착공’ 기준으로 설정했다.
공공택지는 LH가 민간에 매각하지 않고 직접 시행하는 방식으로 공급 방식을 전면 전환할 계획이다. 더불어 LH가 소유한 비주택용지의 용도와 기능을 정례적으로 심의‧재조정하는 ‘공공택지 재구조화’ 제도를 도입한다. 이 방식으로 2030년까지 수도권에 1만5000호를 추가 공급할 방침이다.
다만 증권가에선 이번 ‘9.7 주택공급 확대 방안’ 이 건설주 주가의 방향을 우상향 추세로 바꾸는 요인이 되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기룡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공공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LH 역할에 대한 실효성, 민간 정비사업을 위한 규제 완화 부재 등은 정책의 한계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올 하반기 건설업종 주가 부진은 6.27 대출 규제 여파에 이어 연이은 중대재해 사고 관련 우려에서 기인한다”며 “이번 대책은 공급 대책의 기대감 보다는 극단적인 건설업 위축 우려 완화 효과가 우선적으로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유진투자증권 역시 “이번 주택공급 확대 방안은 실질적인 공급 확대 효과 부재로 주택가격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라면서 “정비사업 규제 완화가 제외됨에 따라 주요 건설사 실적에도 실질적인 효과를 주지 못할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이 증권사는 수도권 공공택지 추가 착공물량으로 5년간 12만1000호를 제시했지만 단순 시행주체 변경(민간→공공)을 제외하면 6만8000호에 불과 하다는 설명이다. 또 수도권 134만9000호 공급계획 역시 착공 기준 물량으로 실제 입주시점과는 괴리가 존재해 공급 부족 문제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책은 건설업종의 현 주가 흐름에 변곡점을 만들 요소가 없다”며 “주택 공급자로서 공공 (LH) 역할 증대, 도심 내 공공 유휴부지 활용 등 공공이 상당히 강조되고 있어 민간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기업들에 대한 주식시장 투자자들의 관심을 돌리기는 힘들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