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간 관세 협상 후속 논의가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자동차 관세 15% 인하 시점이 불투명해진 가운데, 현대자동차그룹이 ‘현지 생산 확대’ 전략으로 정면 돌파에 나섰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관세 협상 지연과 비자 제도의 불확실성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최근 관세 등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미국 대규모 투자 전략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현대차의 미국 투자 금액은 기존(2025~2028년) 11조6000억원에서 15조3000억원으로 3조7000억원 늘어난다. 지난달 현대차가 발표한 미국 투자 확대 계획의 일환으로, 현지 생산 확대 및 로보틱스 생태계 구축 등을 위해 올해부터 4년간 미국에 260억 달러(약 36조원) 투자에 나선다.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최근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 투자자 질의응답에서 “오는 2030년까지 미국 판매 차량의 80% 이상을 현지에서 생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 현지 생산량을 끌어올려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자동차 한 대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수천 개 부품이 필요한데, 상당 부분이 한국 등 해외에서 조달된다. 따라서 현지 생산을 확대하더라도 관세 영향을 완전히 피하기 어렵다. 더불어 현지 부품 조달 비중이 커지면 한국 부품업체 등 기존 협력사들이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최근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로 부각된 비자 문제도 발목을 잡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전자여행허가(ESTA)나 단기상용(B1)을 활용해왔던 관행이 트럼프 정부의 단속 강화로 차단되면서 인력 운용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구금자 가운데 합법적인 비자를 소지한 한국인 근로자들도 포함돼 있던 만큼 미국 현지에서의 업무 수행에 부담이 큰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관세 협상과 비자 제도의 조속한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경진 한국자동차부품협회 정책연구소장은 “자동차 관세 인하 시점이 기약 없이 늦어지면서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이에 현지 생산 확대에 주력할 것”이라면서 “하지만 현지에서 차량을 생산하더라도 수천 개에 달하는 부품을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하기 때문에 관세가 미치는 영향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강력한 관세정책으로 기업들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한미 간 관세협상 후속절차를 빠르게 마무리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예기치 못한 조지아 한국인 구금 사태 이후 현지 생산하는 데 있어 기업과 근로자들의 부담이 있을 것”이라며 “비자 제도에 대한 한미 간 빠른 협의를 통해 문제를 매듭 짓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