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영방송 TBS가 서울시 지원 중단 이후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를 복원하기 위한 해법을 찾는 토론회를 열었다.
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과 공동으로 ‘공영방송 TBS, 어떻게 복원할 것인가’ 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정치·학계·법조계 전문가들과 대책을 논의했다.
TBS는 지난해 9월부터 전체 예산의 70%를 차지하던 서울시 출연금이 끊기면서 극심한 재정난에 빠졌다. 임금 체불과 고정비 미지급으로 법인 청산까지 거론되는 등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송지연 언론노조 TBS지부장은 “TBS는 35년 넘게 수도권 교통과 기상 정보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 현안을 전하며 시민의 일상과 공공의제를 함께 지켜온 지역공영방송”이라며 “그러나 TBS가 쌓아온 공적 가치가 해체 위기에 놓여 있다”고 운을 띄웠다.
이어 송 지부장은 현재 TBS의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3월부터 이사회는 불능 상태고, 직원들은 1년 넘게 월급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누적 부채는 100억원에 이른다”며 “방송은 최소 인력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언제 전파가 끊길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TBS 정상화를 위해 △제도의 복원 △재정의 확보 △리더십의 회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송 지부장은 먼저 ‘공영방송의 법적 지위 복원’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그는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다수에 의해 ‘TBS 지원조례’가 폐지된 상황이다. 행정안전부의 출연기관 해제 고시를 취소해 복원해야한다”며 “이를 위해 법률적 위법성 판단·행안부의 결단·국회의 압박·시민사회의 여론 등이 함께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방송통신발전기금을 통한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 지부장은 “eFM(외국어 FM 방송)은 국내 거주 외국인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코로나19때 외국 거주인들이 이 방송을 통해서 소외되지 않을 수 있었다”며 “방송통신발전기금 50억원은 적절한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조직 내부의 리더십 공백도 심각한 문제로 거론됐다. 송 지부장은 “대표 공석의 장기화로 리더십이 부재된 상황에서, 방통위의 역할이 절실하다”며 “노조·시민사회·법률 전문가·학계 인사들이 공동 자문단을 구성해 컨트롤 타워에 자문 역할을 해달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TBS의 공적 가치를 다시 환기했다. 그는 “민영화 노선과 결별해야 한다”라며 “민영화를 여전히 주장하고 있는 경영진뿐 아니라 실무자들도 그 자리에서 내려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한 TBS 관계자는 “제작비가 없어 재능 기부와 뉴미디어 협업 등으로 방송을 이어가고 있다”며 “시민의 방송은 반드시 시민 품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