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미 의회 지도부와 만나 “한미 간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국 외환시장 불안정이 우려되지만, 결국 양국이 ‘상업적 합리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영 킴 공화당 하원의원, 진 섀힌 상원 외교위 간사, 크리스 쿤스 상원의원, 그레고리 믹스 하원 외무위 간사(이상 민주당) 등 4명의 미 의원을 접견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같은 날 공개된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도 “상업적 합리성을 보장하는 구체적 합의가 현재 핵심 과제이자 최대 걸림돌”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미국 측이 요구하는 3500억달러(약 490조원) 현금 투자가 한국의 외환보유액 사정상 현실적이지 않다는 점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또 “최근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 전문인력 구금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에 미 의원들은 비자 제도 개선 필요성에 공감하며, 양국 정부의 노력이 ‘한국 동반자법’(전문직 취업비자 E-4 연 1만5000개 허용)의 의회 통과에도 힘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밝혔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과의 성공적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동맹이 안보·경제·첨단기술 전반에서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진화할 기반을 마련했다”며 “양국이 미래지향적 협력을 심화할 수 있도록 의회의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미 의원단은 “오늘 접견이 상·하원, 여야를 망라해 이뤄진 것은 한미동맹에 대한 미 의회의 초당적 지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조선, 바이오, 방산 분야 등에서 산업·기술 협력이 한층 강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