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로템이 무인화·전동화·수소 인프라 등 차세대 제조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 전략을 제시했다.
현대로템은 23일부터 26일까지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AMXPO)’에 참가해 AI 기반 무인 모빌리티, 전기차 전용 프레스 장비, 수소 사회 구현 비전을 아우르는 전시관을 운영한다.
올해 전시회에는 140여 개 기업이 참가해 최신 제조·기계 산업 솔루션을 공유한다.
이번 전시에서 현대로템은 △무인소방로봇 △항만 자동이송차량(AGV) △전기차 전용 프레스 설비 △대형 수소 디오라마를 핵심 전시품으로 배치했다.
무인소방로봇은 다목적 무인차량 ‘HR-셰르파(HR-SHERPA)’ 플랫폼을 기반으로 현대자동차그룹·소방청과 공동 개발 중인 장비다.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화재 현장에 투입돼 자체 소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재난 대응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항만AGV는 부산 신항에서 운영 중인 무인 운송 장비로,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적재·이송한다. 지난해 광양항 자동화 부두에도 납품 계약을 체결하며 국내 항만 자동화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국산화율 제고와 유지보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 연구개발(R&D)도 병행하고 있다.
전기차 전용 프레스 설비도 주목된다. △고정밀·고속 적층 프레스(전기차 모터 코어 생산) △배터리 캔 프레스(배터리 보호 커버 생산) △프레스 이송 장치(분당 최대 17장 이송) 등이 소개됐다. 해당 설비들은 지난 6월 중국 국제금속성형전시회에 첫 출품돼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관심을 받았다.
친환경 인프라 존에서는 지난해 독일 베를린 ‘이노트란스(Innotrans)’에서 공개된 대형 수소 디오라마가 전면에 배치됐다. 수소 생산·저장·운송에서 모빌리티 활용까지 전 주기를 구현하며 현대로템의 수소 인프라 역량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제철설비·냉연설비·크레인 장비 등 기존 공급 실적도 함께 전시됐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AI와 친환경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인프라 사업 역량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전시"라며 "축적된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전기차·수소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