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달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금융권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잇따른 금융사고와 해킹 등 보안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김건희 여사 집사 게이트’에 연루된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의 증인 소환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는 이날 오후 전체회의를 열고 국정감사 증인 참고인 최종 의결에 나설 예정이다. 한 정무위 관계자는 “최근 해킹 사태와 관련된 KT 대표, ‘김건희 게이트’ 의혹에 연루된 금융사들, 불공정거래 이슈 기업들이 주요 증인 후보로 논의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어 “주요 증인으로 꼽히는 MBK파트너스와 롯데카드의 경우, 금융위 국감 때 부르기로 여야 첫 증인 협의에서 합의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김건희 게이트’ 파문…금융권 투자 의혹 정조준
이번 국감의 핵심 쟁점 중 하나는 금융권이 얽혀있는 ‘집사 게이트’다.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불린 김예성 씨가 참여한 IMS모빌리티가 2023년 사모펀드 운용사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 HS효성, 신한은행 등으로부터 184억원을 부당하게 투자받았다는 의혹이다. 당시 IMS는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 사실상 자본잠식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검은 금융권이 뚜렷한 수익성이 없던 IMS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배경에 정권과의 연결고리가 있었는지 의심하고 있다.
KB금융 자회사인 KB캐피탈 역시 IMS모빌리티에 20억원을 투자한 사실이 확인돼 논란이다. 투자 시점은 카카오모빌리티, 신한은행 등 주요 기업 투자가 이뤄진 3개월 뒤다. KB캐피탈의 황 모 전 대표가 올해 1월 ‘도이치파이낸셜’ 대표로 이직한 점도 특검의 수사 선상에 올랐다. 도이치파이낸셜은 김 여사 주가조작 의혹이 제기된 도이치모터스 계열사다. 다만 이와 관련해 KB캐피탈 관계자는 “황 전 대표의 이직은 회사와 무관한 개인 행보이며, IMS모빌리티 투자는 ‘KB차차차’ 플랫폼의 홈배송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전략적 제휴 차원”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금융지주 회장 증인 채택 ‘안갯속’…해외 출장 변수
은행권의 최대 관심사는 금융지주 회장들의 국감 증인 포함 여부다. 지난해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전임 회장의 ‘친인척 부당 대출’ 관련 증인으로 채택돼 직접 국감장에서 해명에 나섰다.
다만 실제 회장들의 참석 여부는 미지수다. 10월 셋째 주에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 회장들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하는 점이 변수로 꼽힌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해당 시기에 IMF와 WB 연차총회 참석이 예정되어 있다”고 밝혔다. IMS모빌리티 투자 당시 해당 부서(GIB) 그룹장이었던 현 정근수 신한투자증권 CIB총괄사장이 특검에 출석했었기 때문에, 정 사장이 국감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 역시 회장 증인 채택 가능성에 대해 “현재 해외에 계셔서 확인이 필요한 사항”이라고 말을 아꼈다.
금융권의 허술한 내부통제 시스템도 이번 국감의 주요 의제로 거론될 전망이다. 올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국내 5대 은행에서는 금융사고가 이어졌다. 현 정부가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내건 만큼 책임을 강력히 물을 가능성이 높다.
롯데카드, SGI서울보증보험 등 해킹 사고 및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금융사의 역할도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특검 수사가 어디까지 확대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국감까지 겹치면서 금융권 전반이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면서 “신임 감독당국 수장 기조와 맞물려 연말까지 긴장감을 늦출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