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전담수사팀을 꾸려 화재 원인 규명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대전경찰청은 28일 김용일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둔 20명 규모의 국정자원 화재 전담수사팀을 꾸렸다.
전담수사팀은 불이 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한 이유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한다. 배터리 관리상 문제나 안전조치가 미비했는지 등을 관리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현재 행안부와 국정자원 측은 작업자 13명이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 서버와 함께 있던 UPS용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작업을 하던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화재의 주원인으로는 배터리 노후화가 거론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화재 원인이 된 UPS용 배터리는 2014년 8월 국정자원에 납품돼 사용됐다. 제조사가 권장한 사용기간인 10년을 1년가량 넘긴 상태였다. 다만 행안부는 “배터리를 판매하는 관리업체로부터 정기점검을 받고 있고, 해당 점검에서는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배터리를 옮기는 과정에서 작업 실수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도 있다. 업계 배터리 전원을 차단한 뒤 전선을 빼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전선을 뺐다가 전기 단락(쇼트)이 생긴 것 아니냐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또 시설 관리를 맡은 KT 측의 과실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다만 국정자원은 전날 현장 브리핑에서 “전원을 끊고 40분 뒤에 불꽃이 튀었다”고 한 바 있다.
경찰은 정부 서비스 복구가 최우선인 만큼 복구 현황을 살피면서 정밀감식 등을 통해 사고 경위와 화재 원인을 밝힐 예정이다.
한편 경찰은 소방당국이 초진을 선언한 전날(27일)에 이어 이날 소방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2차 합동 감식을 진행했다. 경찰은 전날 일부 시설 구성품을 확보해 감정 의뢰했으며, 전산실에서 반출해 수조에 담가둔 배터리들은 2∼3일 정도 잔류 전기를 빼내는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식 의뢰할 방침이다.
이날 오전에 시작한 감식은 오후까지 이어지고 있다. 경찰은 불이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