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인도법인 상장을 위한 구주 매각을 공식화하며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에 돌입했다. 상장이 마무리되면 대규모 현금 유입을 통해 재무건전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LG전자는 30일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 지분 15%(1억181만5859주)를 처분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매각 시점과 금액은 미정이며,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의 최종 승인 후 공모가 밴드와 처분 예정일을 별도 공시할 계획이다.
이번 IPO는 신주 발행 없이 기존 주식을 매각하는 구주매출 방식으로, 조달 자금 전액이 LG전자 본사로 유입된다. 현지 언론이 예상한 공모 규모는 약 1150억 루피(약 1조8000억원)로, 이는 LG전자의 2분기 말 별도 기준 현금성 자산(1조1000억원)을 크게 상회한다.
LG전자는 지난해 12월 상장예비심사서를 제출하고 올해 3월 예비승인을 받았지만, 4월 글로벌 증시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상장 일정을 유보해왔다. 이번 이사회 결의로 상장 절차에 다시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IBK투자증권은 보고서에서 “인도법인 상장은 4분기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현금흐름 개선을 기대하게 한다”고 분석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도 “IPO는 LG전자의 재무지표를 강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인도 자본시장 특수성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는 글로벌 기업들도 늘고 있다. 월풀(가전), 오라클(IT), 무디스(신평), 스즈키자동차(자동차), 네슬레(식품) 등이 현지 자회사를 상장하며 자금 확보와 사업 확대를 동시에 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