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환자 외국인 비중 증가…“입국 단계부터 검진 강화해야”

결핵환자 외국인 비중 증가…“입국 단계부터 검진 강화해야”

기사승인 2025-10-01 08:56:24 업데이트 2025-10-01 10:20:37
서울의 한 병원에서 시민이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쿠키뉴스 자료사진

최근 국내에서 결핵환자가 감소하는 추세지만 외국인 결핵환자 비중은 증가세를 보였다. 외국인 결핵환자 중에서는 중국인 환자가 수년째 절반 수준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질병관리청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결핵 신규환자 중 외국인 환자 비중은 2019년 5.3%에서 지난해 6.0%로 증가했다.

국내 결핵 신규환자가 2019년 3만304명에서 지난해 1만7944명으로 1만2360명(40.8%) 급감한 반면 같은 기간 외국인 결핵환자는 1597명에서 1077명으로 520명(32.6%) 줄어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이다.

외국인 국적별로는 중국 국적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1~8월 중국 국적 환자는 307명으로 외국인 환자 721명 중 42.6%를 차지했다.

중국 국적 환자는 2019년 789명(49.4%), 2020년 644명(48.9%), 2021년 584명(47.0%), 2022년 543명(50.7%), 2023년 512명(46.3%), 2024년 501명(46.5%)으로 절반 안팎을 유지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베트남(10.0%), 태국(7.2%), 인도네시아(6.1%), 네팔(5.0%) 등의 순이었다.

성별로는 외국인 환자 중 남성이 약 60% 수준으로 내국인 환자와 비슷했다. 연령대별로는 외국인 환자의 44.3%가 20~30대 청년층으로 파악돼 70세 이상 고령층이 절반을 넘은 내국인 환자와 차이를 보였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 34.5%(372명), 서울 21.8%(235명), 인천 6.6%(71명) 등 외국인 환자의 63% 가까이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김미애 의원은 “결핵 전체 발생은 줄고 있지만 외국인 환자 비중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중국 국적 환자가 절반을 차지하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입국 단계부터 결핵 검진을 강화하고, 청년층과 수도권 중심의 맞춤형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혜선 기자
firstwoo@kukinews.com
정혜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