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과 지방의 의료 불균형이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도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증가는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는 곧 수도권과 지방 간의 의료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중증환자들은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날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여기에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의사마저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의료 불균형은 시간이 갈수록 깊어지는 모양새다.
공중보건의사의 경우 열악한 처우와 복무 환경으로 인해 지원자가 줄면서 2024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3000명선이 무너졌다. 급기야 2025년에는 1000명 이하로 급감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의원이나 약국조차 없는 의료 취약지에서 공중보건의의 부재는 곧 의료 공백으로 이어진다.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지역 의료는 더욱 위태로워졌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복귀하더라도 수도권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근무 중인 전공의의 65.6%가 수도권 병원 소속으로 이는 비수도권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다.
특히 지난 2024년 하반기 전공의 추가 모집에서는 비수도권 필수의료 분야 지원자는 단 1명에 그쳤다.
정부가 병상수급 관리 계획 등을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서고는 있지만, 현장의 인력 유출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