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성인 10명 중 6명이 인공지능(AI) 재테크 열풍을 따라가지 못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60대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생성 AI 확산에 따른 불안 경험’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AI 재테크 유행에 잘 적응하지 못해 불안하다는 비율이 59.1%에 달했다.
생성 AI는 책, 보고서, 인터넷 게시물 등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과 구분이 어려울 정도의 수준으로 분석, 요약, 추론 등의 작업을 하는 AI다. AI 재테크는 AI에게 증권사 보고서나 재무제표 요약을 시키는 것부터, 중장기 투자 전략이나 특정 종목·펀드 매수 여부를 묻는 재테크다.
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은 관련 보고서에서 “AI 재테크에 대한 불안감은 특히 30대에서 64.5%로 가장 높은 비율이 나왔다”며 “사회·경제 활동 초기 단계에서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크고 AI를 잘 활용하려는 수요가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중요한 투자 판단을 할 때 AI의 답변을 맹신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한다. 사실과 동떨어진 답을 진짜처럼 내놓는 ‘헛소리’ 현상 등 AI가 비상식적 진단을 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정민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연구위원은 “재테크 분석에서 생성 AI 모델마다 고유의 편향성이 존재하는 데다 같은 제품도 유료·무료 버전 답변이 다를 수 있다”며 “개별 AI 답변은 여러 경로를 통해 비교·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