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가 2026년도 예산에서 콘텐츠 항목을 26.5% 확대한 반면, 체육 예산은 0.3% 늘리는 데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임오경 의원은 문체부 예산의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13일 임 의원실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내년도 문체부 예산안은 7조 9962억원으로 정부 총예산안 대비 0.02% 증가에 그쳤다.
이 중 콘텐츠 예산은 1조 6103억원으로 전년 대비 3369억원이 증액됐다. 문화, 예술의 경우 2조 3824억원으로 10.9%(2500억원)가 늘어났고, 관광 예산은 1조 4750억원으로 9.5%(1274억) 상승했다.
반면 체육 관련 예산은 1조 6795억원으로 직전 대비 0.3% 수준인 56억원 증액에 그쳤다. 생활·학교체육 예산이 삭감됐다. 대한체육회 예산 2790억원 중 생활체육 예산은 전년 대비 95억원 줄어든 410억원이다.
이어 현장 조사에서 학부모 95.7%가 확대해달라고 요청한 ‘신나는 주말체육 학교 프로그램’ 예산 141억도 전액 감축됐다. 이 때문에 생활·학교체육이 크게 위축될 전망이다.
부족한 체육 예산 문제는 윤석열 정부에서도 이어져 온 것으로 확인됐다. 임 의원실이 제공한 추가 자료에 따르면 윤 정부 시절 문체부는 대회 관련 공식후원사에 대한 독점공급권을 중단했다. 결국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저가입찰이 이뤄지면서 품질이 낮은 단복이 공급됐다.
이후 윤 정부는 축구협회에 대해 27건의 위법·부당 업무처리를 확인했다면서 압박을 이어갔다. 대법원은 최근 정몽규 축구협회장에 대한 중징계 요구 집행 정지를 확정했다.
임 의원은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국민 건강을 위한 생활체육 예산이 대폭 삭감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윤석열 정부에서 일어난 체육계 예산 갑질·핍박을 멈추고, 체육계 예산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