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태안군이 태안화력발전소 폐지와 그에 따른 지역 위기극복 돌파를 강구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 공공주도 해상풍력발전 직접화단지 신청서를 지난 10일 제출했다.
집적화단지란 지자체 주도 아래 40MW를 초과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설치·운영하는 구역이다. 지정 시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추가 가중치 최대 0.1을 부여받아 수산업 지원 및 주민복지 관련 사업을 펼칠 수 있다.
또한 단지 조성을 통한 세입 확보로 주민의 소득 창출을 도모할 수 있으며, 풍력발전 사업의 국가 경쟁력 제고와 더불어 화력설비 폐지분의 대체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군은 현재 태안 앞바다에서 총 사업비 11조 6천억 원이 투입되는 1.395GW(태안500MW, 서해495MW, 가의 400MW) 규모의 3개 해상풍력단지 조성이 진행 중에 있으며 집적화단지 대상지로 지정될 경우 사업 추진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군은 2020년 수립된 ‘에너지 중장기 계획’에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반영하고 이듬해 기후에너지환경부(당시 산자부)의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됐으며 체계적인 개발을 위해 ‘제1기 태안군 해상풍력발전 민·관협의회’를 구성했다.
이어 지난해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신청을 위한 ‘제2기 태안군 해상풍력발전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고 해수부에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반영 요청서를 제출했다. 지난달 한국서부발전과 상호 협력 양해각서 체결식을 갖고 해상풍력 단지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공동 협력에 나서기로 하는 등 준비를 이어가고 있다.
태안군을 비롯해 전국 지자체 10곳 정도가 이번 집적화단지 지정을 두고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며, 이달 말 신청 접수 마감 후 기후에너지환경부의 평가를 거쳐 내년 1분기 중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