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약 900억원대 전액 손실을 낸 벨기에펀드 판매사들에 대해 현장 검사에 나섰다. 금감원은 판매사들의 불완전판매 의혹과 관련해 살펴볼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부터 벨기에펀드 판매사인 한국투자증권과 KB증권, 우리은행에 대해 현장 검사에 착수했다.
벨기에펀드는 지난 2019년 6월 설정된 벨기에 정부기관이 사용하는 현지 오피스 건물의 장기 임차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펀드 설정 당시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이 공모와 사모를 나눠 총 900억원을 모집했다. 나머지 금액은 현지 대출을 통해 매입 자금을 마련했다.
당초 벨기에펀드는 5년간 운용 후 임차권을 매각해 수익을 분배할 계획이었으나, 글로벌 금리인상기 도래와 부동산 경기 악화로 매각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펀드는 전액 손실을 냈다.
판매사들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은 약 589억원을 판매한 최대 판매사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200억원, 120억원가량을 판매했다.
벨기에펀드 피해자들은 판매사가 펀드 자금 모집 과정에서 임대율 100%와 벨기에 정부 임차 건물에 따른 안전한 투자를 강조했다고 주장한다. 피해자들은 지난 9월 금감원 앞에서 자율배상안 실효성 부족과 금융당국 책임을 질타하는 긴급 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찬진 금감원장이 취임 이후 소비자보호 강화를 거듭 강조한 점에서 금감원의 검사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내다본다. 이 원장은 지난달 8일 금융투자사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당시 이 원장은 “사모펀드,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등 대규모 투자자 피해는 상품의 설계, 판매, 운용 전 과정에서의 문제였다. 이는 고객 보호보다 단기 성과를 중시한 결과라는 비판이 있다”라며 “임직원 스스로가 가족에게 자신 있게 권할 상품이 아니라면 판매하지 않는 게 상식이자 원칙”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