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5대 그룹(삼성·SK·현대차·LG·롯데)의 자산 규모가 5년 새 444조5036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그룹은 이 기간에 164조원이 증가해 단일 그룹으로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22일 CEO스코어가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중 2019년과 2024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비교가 가능한 52개 그룹을 조사한 결과, 전체 자산 규모는 2019년 1897조2869억원에서 지난해 2709조853억원으로 811조7984억원(42.8%)이 늘어났다.
이중 5대 그룹(삼성·SK·현대차·LG·롯데)의 자산 규모는 1143조5705억원에서 1588조741억원으로 444조5천36억원(38.9%) 늘어나 나머지 47개 그룹의 총자산 증가액(367조2948억원)보다 많았다.
특히 삼성그룹은 5년 새 자산 규모가 164조원 증가해 단일 그룹으로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삼성의 총자산은 2019년 424조8480억원에서 지난해 589조1139억원으로 38.7% 증가했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의 성장에 힘입어 2022년 이후 재계 2위 자리를 유지했다. SK의 자산 규모는 225조5260억원에서 137조4359억원(60.9%) 증가한 362조9619억원을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판매 호조와 배터리, 모빌리티 사업 확장에 따라 자산 규모가 234조7058억원에서 306조6173억원으로 71조9115억원(30.6%) 늘어났다.
이어 한화(54조573억원), LG(49조979억원), HD현대(25조8573억원), 한진(24조6226억원), 롯데(21조7926억원), 카카오(20조6046억원), 신세계(19조7706억원) 순으로 자산 규모 증가액이 컸다.
조사 대상 52개 그룹 중 5년 전보다 자산이 감소한 그룹은 교보생명보험, 부영, 두산 등 3곳으로 조사됐다.
CEO스코어는 “최근 5년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지표에서도 상위 5대 그룹이 나머지 47개 그룹보다 앞서 실적 쏠림 현상이 뚜렷했다”며 “다만 LG와 롯데는 이차전지, 화학, 건설 등 일부 계열사의 적자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