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하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대장)가 12·3 비상계엄 당시 내란 행위에 맞서지 못했다며 국민을 향해 사과했다.
김 총장 직무대리는 24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육군 국정감사 인사말에서 “군을 동원해 대한민국을 위태롭게 한 내란 행위에 맞서지 못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큰 위기 앞에서 잘못된 것을 알면서도 침묵했다”며 “국민께 큰 실망과 깊은 상처를 안겨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육군 모두가 내란군은 아니다”라며 “헌정질서를 훼손하는 불법 행위에 가담하고 개인의 안위를 앞세웠던 일부 소수 군 수뇌부와 그에 동조한 인원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들을 제외한 육군 전 장병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대한민국 국군”이라고 강조했다.
12·3 비상계엄에 가담한 자들을 철저히 선별해 적법한 조치를 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 총장 직무대리는 “제게 주어진 권한과 책임 범위 내에서 이들을 적법하게 조치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12·3 불법 계엄에 있었던 사실들을 육군의 공식적인 역사로 철저하게 기록할 것”이라며 “정치적 중립을 유지한 가운데, 사실만을 정확히 기록함으로써 후대에 교훈으로 삼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육군은 이날 업무보고를 통해 2035년까지 주요 부대를 미래 육군 형태인 ‘아미 타이거’(Army TIGER)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아미 타이거’는 각종 전투 플랫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전투 효율성을 극대화한 미래형 전투체계다.
특히 2040년까지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전 부대에 적용하고 모든 보병대대에 ‘드론봇중대’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완전 적용해 감시·결심·타격 전 부분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오는 2027년까지는 첨단전력 대대급 시범부대를 선정해 AI, 드론, 로봇 통합 실증을 진행하고 GOP과학화경계시스템 성능을 개량한다. 2030년까지 AI통합관제플랫폼 전력화도 추진한다.
육군특수전사령부는 내년 K-1·K-2 소총 대체 기종 전력화, 2029년 폭발물 제거로봇 전력화 등을 통한 특수작전 무기체계 및 물자 현대화 계획을 보고했다.
육군군수사령부는 사물형인터넷(IoT)을 활용한 스마트 탄약고 전환과 탄약 업무의 디지털화로 2035년에는 모든 탄약부대가 지능형 탄약관리체계를 구축하도록 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