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불법 드론 제로’ 눈앞인데, KAC 공항만 급증…왜?

인천공항 ‘불법 드론 제로’ 눈앞인데, KAC 공항만 급증…왜?

인천공항 감소세, KAC 공항은 증가
인천공항공사 “조기 대응 영향 미쳐”
한국공항공사 “전국 홍보 강화 계획”

기사승인 2025-10-27 06:00:09 업데이트 2025-10-27 14:24:29
국내 항공사의 항공기들. 연합뉴스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하는 김포‧김해‧제주공항에서 불법 드론 비행이 급증한 반면, 인천공항공사가 맡고 있는 인천공항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불법드론 탐지 인프라 도입 시기와 사전 대응 체계의 차이가 결과를 갈랐다고 분석한다.

24일 쿠키뉴스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정재 의원실을 통해 인천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2025.9) 인천공항 연도별 불법드론 적발 건수는 △2021년 173건 △2022년 152건 △2023년 103건 △2024년 35건 △2025년 8건으로 해마다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불법드론 적발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24건)의 33.3%, 3년 전(119건) 대비 7% 수준에 불과했다. 월별로 보면 3‧6월에 2건씩, 4·5·7·9월에 1건씩 발생했으며 1·2·8월에는 단 한 건도 적발되지 않았다.

반면 한국공항공사가 관리하는 주요 공항의 상황은 정반대다. 올해(1~9월 기준) 김포‧김해‧제주공항의 불법드론 적발 건수는 82건으로, 전년 대비 43.9% 증가했다. 이로 인해 항공기 운항이 지연되거나 중단된 편수만 49편으로, 지난해(11편)보다 4배 이상 늘었다.

이처럼 두 공항공사의 불법드론 적발 현황이 엇갈린 배경에는, 탐지 인프라 구축 시점과 대응체계의 완성도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광일 신라대학교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인천공항은 타 공항보다 드론탐지시스템을 일찍 도입하고, 조기 대응 체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했다”며 “특히 공항 주변 불법드론 비행 금지를 알리는 내비게이션 음성 안내나 민‧관‧군 합동 홍보 등 예방 중심의 활동이 일찍 정착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공항공사 역시 최근 탐지시스템을 도입하고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있지만, 운영 시기가 비교적 늦어 실시간 대응 체계가 아직 완전하지 않은 것 같다”며 “향후 대응력 고도화와 시민 인식 개선 홍보가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두 기관 모두 탐지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불법드론 감시단 전개와 홍보 캠페인을 병행하고 있다. 다만 인천공항공사는 2020년 9월 국내 민간 공항 가운데 가장 먼저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후 민‧관‧군‧경 합동 대응 체계와 홍보 활동을 조기에 정착시키면서 불법드론 대응력을 빠르게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인천공항공사 측은 이러한 성과가 조기 대응 시스템 구축과 체계적인 협력·홍보 강화 노력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탐지시스템 등 인프라 조기 구축부터 민관군경의 합동 대응, 다양한 캠페인을 일찍부터 실시하면서 불법드론 비행 사례가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지난해에는 육군 수도군단과 업무협약을 맺고 드론을 비롯한 불법 비행체의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며 “군과 공동 대응체계를 강화해 항공기 운항 피해 예방에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공항공사 측은 최근 불법드론 비행이 잇따르는 상황과 관련해, 대응 체계를 보완하고 홍보활동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공항 주변 불법드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국토부와 긴밀하게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내년에는 전국 공항별 홍보체계 계획을 수립해 안전한 항공 운항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송민재 기자
vitamin@kukinews.com
송민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