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과 하나금융 등 국내 금융지주회사의 투명하고 공정한 지배구조 확립을 강조하던 금융위원회가 정작 정권의 낙하산 인사에는 침묵했다. 이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금융위가 금융지주 회장들의 ‘셀프연임’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취지에 대해 의심어린 발언 마저 내놓고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위 송년기자간담회에서 “KB금융이 자회사 부회장 자리를 신설해 정치권과 밀접한 인물을 영입하는 것이 관치의 압박에 따른 것 아니냐”라는 질문에 “내용을 모르겠다”고 일축했다.
KB금융은 전날 지주사 설립 이후 처음으로 자회사인 KB부동산신탁에 부회장직제를 신설하고, 김정민 전 KB부동산신탁 사장을 부회장에 영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전 사장은 부산상고 출신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선캠프는 물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캠프에도 깊숙히 관여한 인물이다.
KB금융의 김정민 전 사장 영입이 알려진 이후 금융권에서는 KB금융이 금융당국의 지배구조 개선 압박을 완화하고자 친정권 인사를 영입한다는 관측이 난무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KB국민은행 지부 역시 “셀프 연임 위해 겨우 잡은 지푸라기가 친노 올드보이인가?”라며 “윤종규 회장의 이러한 시도들이 ‘셀프연임’ 꼼수에 이어 정권 줄대기와 자회사에 대한 지배력 강화를 통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또다른 꼼수 의혹”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논란에 모르쇠로 일관하던 최 위원장은 이번 금융지주사의 지배구조 개선이 금융권의 반발을 사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박하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그는 “누가 반발하나. 저는 한두명 개인의 반발로 생각한다. 제가 이 문제를 거론했을 때 분명히 몇 차례 말씀드렸다. CEO선임과 관련해 지배구조 개선에 중점을 둔 것이지 어느 한 개인의 진퇴를 거론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발언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금융위의 취지와 무관하게 이번 금융지주 회장에 대한 지배구조 압박이 정권의 낙하산 인사를 위해 악용됐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위가 순수하게 금융지주사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지주 회장의 '셀프연임' 문제를 꺼내든 것 일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정권의 낙하산 인사를 지원하는 꼴이 됐다"고 말했다.
따라서 금융지주사의 투명하고 공정한 지배구조 확립을 위해 금융지주 회장의 ‘셀프연임’을 막는 것 만큼 금융지주에 대한 낙하산 인사를 차단한 것도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셀프연임과 낙하산 인사를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주 회장들이 셀프연임에 대한 압박을 무마하고자 낙하산 인사를 받고, 낙하산 인사들은 자신을 받아준 지주 회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며 “금융당국이 셀프연임만 개선하고 낙하산 인사는 무시하겠다는 이중적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