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가 위기에 빠진 자국 석유산업을 구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원유 생산량을 현재보다 최대 45%까지 늘릴 것을 천명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16일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드라도르(AMLO·암로) 멕시코 대통령이 전날 멕시코만 해안 도시 시우다드 델 카르멘에서 “국영 석유기업 페멕스의 원유 생산을 늘려 위기에 빠진 석유산업을 구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현재 일간매체 엘 우니베르살 등이 전했다.
이날 석유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연설에 나선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페멕스의 하루 원유 생산량을 현재의 165만 배럴에서 240만 배럴로 늘릴 계획이라고 방안을 제시했다.
멕시코 캄페체 주에 위치한 석유산업 도시 시우다드 델 카르멘은 원유가 집중 매장된 지역에서 85㎞ 떨어진 곳으로, 이 지역 원유생산은 멕시코 정부 재정 수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석유 매장 지역에 투자하겠다. 이러면 석유 추출 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하고 “석유산업을 구조하기 위한 계획은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페멕스 본사를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시우다드 델 카르멘으로 이전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앞서 로페스 오브라도로 대통령은 정부 긴축 재정 편성으로 절약한 750억 페소(약 4조2000억원)를 페멕스에 투자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현재 페멕스는 퇴직 연금 지출 증가, 만연한 석유 절도, 조직 방만과 비효율 등으로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