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국에 대한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로 최근 메모리 반도체 현물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이는 단기적인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는 16일자 보고서를 통해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로 일부 모듈 업체가 가격을 인상했다. 하지만 반도체 재고 수준이 여전히 높아 수요와 공급이 반전될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다.
앞서 디램익스체인지는 15일 발표를 통해 DDR4 8기가비트(Gb) D램 현물 가격은 지난주 전주 대비 7.6% 급상승해 일각에서는 반도체 업황이 개선 될 것이라는 예측도 제기됐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현물 시장은 전체 D램 시장의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중장기 수급은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계약시장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물 가격은 반도체 모듈 업체가 시장에서 단발성으로 거래하는 가격을 임의로 집계한 것이다. 보고서는 계약시장(기업 간 거래) 중심의 메모리 시장을 대변할 순 없다고 판단했다.
디램익스체인지는 계약시장 거래 가격을 뜻하는 메모리 반도체 계약 가격은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보고서는 PC와 스마트폰, 서버, 데이터센터 등의 반도체 수요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고, D램 공급업체들도 3개월 치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낸드플래시도 일본 수출규제와 함께 도시바 욧카이치공장 정전사태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공급업체들이 2∼3개월 치 재고를 가지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가격 상승요인이 없다는 분석이다.
디램익스페인지는 보고서에서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는 완전한 수출 금지가 아닌 ‘절차의 연장’에 불과해 장기적 수급에는 영향을 미치기 힘들 것이란 의견도 제시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