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정청래·박찬대 후보가 여권에서 제기되는 조국 조국혁신당 전 대표 ‘광복절 사면론’에 대해 ‘대통령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두 후보는 다음 달 2일 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난 29일 밤부터 30일까지 MBC에서 진행된 3차 TV 토론에서 ‘여당 대표가 되면 조 전 대표 특별사면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것인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정 후보는 “특별사면은 매우 민감한 사안이고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며 “이전에 조 전 대표에게 동지적 관점에서 응원하기도 했으나, 책임 있는 무거운 직책이 될 당 대표로서 민감한 대통령 고유 권한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께서 어련히 잘 알아서 심사숙고해 판단하지 않겠는가. 그 판단을 존중한다”며 말을 아꼈다.
박 후보는 “사면권은 대통령 고유 권한으로, 당 대표 후보자 자격으로서 미리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일축했다.
이어 “인사권·사면권 등은 충분히 인사권자·사면권자의 입장을 존중하고 우리 의견은 좀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후보 모두 검찰·사법·언론 등 3대 개혁에 야당이 반대할 경우에는 표결로 강행하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국민의힘이 법안 처리에 반대하면 민주당 주도 표결로 통과시키겠다는 입장이다.
한일 관계와 관련해선 두 후보 모두 “한일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해선 과거사 청산부터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오는 10월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초청해야 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두 후보 모두 “그렇다”고 답했다.
스테이블 코인 도입과 관련해서는 일부 입장차를 보였다. 정 후보는 미국에서 스테이블 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담은 지니어스법이 통과된 점을 거론하며 “이런저런 우려가 있겠지만 빨리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박 후보는 “일단 도입해야 하지만 여러 우려와 부작용이 예상되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권리당원과 대의원 표 가중치 문제를 놓고는 시기상의 차이를 보였다. 해당 표들은 당내 선거에 적용된다.
정 후보는 박 후보에게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현 제도는 대한민국 모든 선거는 1인 1표라는 민주적 절차에 맞지 않다”며 “대의원제는 유지하되 가중치는 없애야 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박 후보는 “당원과 대의원 표가 일대일로 수렴해가는 것이 당의 지향인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문제는 속도와 시기다. 당원과 대의원의 목소리를 수렴해서 결정하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내란 종식과 관련해서는 정 후보는 모두발언을 통해 “내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윤석열은 탄핵·파면 됐음에도 지금도 수사에 응하지 않고 거부하고 있다”며 “국민의힘 연루자들이 얼마나 되는지 우리는 모른다.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개혁”이라고 힘줘 말했다.
박 후보는 “저 박찬대는 윤석열 탄핵과 3대 특검 출범, 내란종식 특별법, 김건희 특검 연장을 설계한 준비된 당 대표 후보”라며 “윤석열과 김건희 등 모든 내란 세력이 다시는 햇빛을 보지 못하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석열을 지키려고 했던 국민의힘 의원들을 제명하고, 검찰청도 추석 전까지 해체하겠다. 사법부 내란 세력, 전광훈과 같은 극우 폭동 세력도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