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가 1일부로 일반 관람을 전면 중단하고 이재명 정부의 집무 공간 복귀를 위한 보수공사에 돌입했다. 지난 2022년 5월 개방된 이후 약 3년 2개월 만의 폐쇄 조치로, 대통령 복귀를 전제로 한 대대적 정비 작업이 본격화된 것이다.
청와대재단은 이날 “종합적인 보안·안전 점검과 청와대 건축물의 보수·보강을 위해 관람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청와대 본관, 영빈관, 녹지원 등 전 구역이 포함되며, 중단 기간은 별도 공지 시까지로 명시됐다.
이날 중단 조치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했던 ‘청와대 집무실 복귀’를 위한 실질적 첫걸음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은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복귀 관련 시설 정비 예산 259억 원의 예비비 지출을 의결한 바 있다.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개방 결정 이후, 청와대는 국민 누구나 방문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해왔다. 개방 이후 지금까지 누적 관람객은 약 783만 명에 달한다. 다만 지난 7월 중순부터는 실내 관람이 제한되고, 외부 경로 위주로만 일부 관람이 가능했다. 당시 이미 복귀 준비를 위한 시설 점검이 시작된 상태였다.
청와대 관람은 회차당 200명, 일일 최대 2000명까지 허용됐으며, 영빈관 내부 공개 등은 문화재적 가치 보호 차원에서 일부 회차에만 이뤄졌다. 그러나 이날부터는 청와대 경내 전체에 대한 출입이 전면 금지된다.
이번 보수공사에는 본관, 관저, 영빈관, 춘추관 등 주요 건물뿐 아니라 지하 시설 및 보안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편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대통령이 민감한 국가기밀과 고위 안보회의 등을 청와대에서 직접 주재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과거 대비 한층 강화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될 전망이다.
복귀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대통령실 안팎에서는 이르면 연내,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 이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첫 집무를 시작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앞서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청와대는 국민의 집이자 대통령의 역사적 책임 공간”이라며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