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내란특검에 출석해 ‘계엄 해제 방해 의혹’ 관련 참고인 조사를 받은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당사로 오라는 텔레그램 문자를 집중적으로 보냈다”고 밝혔다. 당시 당사로 모이라는 문자를 보낸 인물들에 대해서도 수사 필요성을 언급했다.
조 의원은 이날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서 조은석 내란특검 참고인 조사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12월3일 비상계엄 이후 시각부터 그날 새벽 계엄 해제 시각까지 있었던 일을 이야기 나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회의장은 본회의장으로 모이라고 하는데 (추 전 원내대표 측이) 본회의장이 아닌 당사로 모이라는 문자를 집중적으로 보냈다”며 “그런 행위를 유도한 의원들, 그리고 추 전 원내대표가 침묵한 점 등이 중점 수사 대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또 “텔레그램을 통해 적극적으로 당사로 오라고 했던 분들에 대해서도 조심스럽지만 조사를 해야 할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본다”며 곧 국민의힘 소속 다른 의원들에 대한 특검 조사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계엄 선포 직후 추 전 원내대표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7분 이상 통화한 사실도 언급했다. 조 의원은 “12월3일 오후 11시12분에 통화한 것이 나왔고, 한 전 총리의 전화를 받은 이후에도 불법적인 비상계엄을 막지 못한 점을 특검이 집중적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계엄 선포 직후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의 통화 사실에 대해서는 언론 보도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저서 ‘국민이 먼저입니다’를 출처로 들었다.
특검은 당시 대다수 국민의힘 의원이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한 배경에 윤석열 전 대통령과 추 전 원내대표 등이 관여했는지 여부를 집중 수사 중이다.
이날 특검에는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던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도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김 의원은 이날 특검에 출석하며 “12월3일 상황에 대해 아는 대로 말씀드리겠다”며 “본회의장으로 부르기도 하고 중앙당 당사 3층으로 부르기도 하는 등 몇 차례 장소가 바뀌어 혼선이 있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