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가 임기 5년의 청사진을 그리는 국정기획위원회의 국정과제 확정이 임박한 가운데 경북도와 대구시가 지역 현안 사업을 반영하기 위해 두 손을 맞잡는다.
12일 경북도에 따르면 새 정부가 수립하는 국정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대구경북 공동 협력 TF’회의를 오는 13일 경북도청에서 연다.
정부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해소하고 초광역 중심의 균형발전을 위한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지원 전략’을 마련 중이다.
이에 대구·경북은 기존 행정협력 기반과 공동 정책 수요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공동전략을 마련하고 정책 기조에 적극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 경북도는 김호진 기획조정실장을 지방시대정책국과 관계부서, 경북연구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또 대구시는 오준혁 기획조정실장, 행정통합추진단, 관계부서, 대구정책연구원 등이 참석해 TF 구성과 함께 공동 전략 과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논의할 과제는 ▲초광역 SOC ▲미래전략산업 ▲문화관광권 개발 ▲사회환경 등 4대 분야 21개 사업이다.
우선 ‘초광역 SOC분야’는 신공항건설을 비롯해 대구경북 순환철도망, 영일만항, 동서횡단철도, 동서횡단고속도로, 달빛철도, 대구권광역철도(동남권 연결) 건설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미래전략산업'으로는 미래 모빌리티, AI반도체, 항공·방위, 이차전지, 에너지, 바이오, AI로봇, 고부가가치 섬유산업 등을 전략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문화관광권 개발 분야는 낙동강·금호강·백두대간 프로젝트와 포스트 APEC, K 콘텐츠 개발 및 초광역 관광그리드 구축 등을 적극 요청할 방침이다.
이 밖에 사회환경분야로는 인재양성과 저출생 극복, 탄소중립 등에 대한 사업도 국정 청사진에 담아줄 것을 건의한 상황이다.
경북도 김호진 기획조정실장은 “대구와 경북이 공동으로 제시하고 있는 전략사업이 국정과제에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