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가 미국발 관세 부과로 인한 국내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책금융기관과 5대 금융지주를 모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정책금융기관은 오는 2026년까지 172조원을 공급하고, 민간 금융지주는 95조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금융위는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의 주재로 ‘미국 관세 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를 열고 국내 금융권의 역할을 점검했다. 이번 회의에는 금융감독원과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 5대 금융지주 관계자가 참석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금융권은 올해 초부터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선제적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면서도 기업들의 부담은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관세협상에서 25% 고율 관세는 피했지만, 15% 관세 부담과 철강·알루미늄(50%) 407개 품목에 대한 50% 관세가 추가되면서다.
권 위원장은 “이제는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고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금융 지원 방안을 한층 구체화하고 강화해야 할 시점”이라며 금융지원이 피해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 뒷받침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부품 ·철강 ·석유화학 등 관세 피해가 큰 전통 수출 산업에는 수출 다변화 및 경쟁력 강화, 고부가가치 구조로의 재편 등을 위한 자금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또 관세 부과로 직·간접적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중견 수출기업과 국내 협력업체에는 긴급 경영안정자금 확대와 함께 수출 경쟁력 제고, 해외시장 개척, 대기업과의 상생 협력을 위한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위는 미국발 관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2026년까지 총 172조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 들어 8월 말까지 이미 63조원이 공급됐다. 지원 분야는 △경영 애로 해소(36조 원) △수출 다변화(33조원) △산업 경쟁력 강화(91조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이다.
기관별 지원 규모는 산은 42조5000억원, 기은 27조5000억원, 신보 31조5000억원, 수은 42조원, 기보 28조6000억원이다.
주요 상품으로는 관세피해 중소·중견기업에 긴급 경영자금을 지원하는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의 ‘위기대응지원 특별프로그램’이 있다. 산업은행은 지원대상을 관세 피해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한도도 10배 증액(중견 50억→500억, 중소 30억→300억)한다.
금리 인하 폭도 최대 0.5%포인트(p)까지 확대한다. 수출입은행은 지원 대상을 신용등급 열위 기업에서 전체 중소기업으로 넓히고, 최대 2.0%p의 우대 금리를 제공한다. 신보와 기보는 ‘위기대응 특례보증’을 신속하게 집행하기 위해 심사 절차와 제출 서류를 간소화한다.
또한 중소기업은행은 전국 640여개 지점에 ‘금융애로 상담창구’를 설치해 관세 피해 기업에 상담을 제공했다. 위기에 빠진 기업을 대상으로 대체 수출시장 발굴과 원가 절감 컨설팅도 지원한다.
5대 금융지주 95조원 투입… 상생대출 등 구성
5대 금융지주는 관세위기에 대응해 오는 2026년까지 95조원을 지원한다. 연초부터 8월 말까지 공급한 자금은 약 45조원에 달한다.
5대 금융지주의 금융지원 상품은 금리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됐다. 주요 상품으로는 KB금융그룹의 △유망성장산업, 제조업 중소법인 대상 특별 금리 우대 △신기보, 지역보증 특별출연을 통한 대출 지원 △현대·기아차 협력사 대출지원과 신한금융그룹의 △미래혁신산업 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대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산업단지 전용 신상품이 있다.
하나금융은 △자동차 산업 수출경쟁력 강화 프로그램, 우리금융은 △수출기업 등 유동성 공급 및 금융비용 경감, 농협금융은 △소부장 등 중소·중견기업 P-CBO 발행확대, 관세피해 대기업 협력업체 금리우대 등을 운영한다.
김병칠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관세 위기 극복을 위해 금융권의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금감원의 중소기업 애로상담센터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관세지원은 숫자보다 피해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도움이 중요하다”며 “금융권이 책임의식을 갖고 기업을 챙겨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금융위도 피해기업, 금융권과의 긴밀한 소통 이어가며 노력하겠다”고 힘줘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