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과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을 용산 대통령실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노동계와 사용자 측이 오해와 적대감을 해소하기 위해선 자주 만나 대화해야 한다”며 “사회 도약을 위해 대화와 신뢰, 조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우리 사회의 제일 큰 과제가 포용과 통합”이라며 “노동자와 사용자 측이 진지하게 팩트에 기반한 토론을 통해 입장을 조정하고, 오해를 푸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자주 봐야 한다. 민주노총도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기로 한 것이 의미 있는 결단이라고 본다”며 “경사노위 위원장 선정 문제도 함께 논의하며 실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노동계 입장에서는 그동안 대화의 장이 불편할 정도로 무리하게 운영된 측면이 있었을 수 있다”면서도 “사회안전망, 기업 부담, 고용 안정성과 유연성 같은 문제를 터놓고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정규직 채용 회피와 비정규직·외주 확산으로 노동 불안정이 심화하는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라도 신뢰와 대화가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정부가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대화의 장을 운영해야 한다”며 “한쪽이 이용당했다는 느낌을 받게 해선 안 된다. 새 정부는 진지하게 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인들은 ‘친노동’이라고, 노동자들은 ‘기업 편’이라고 말할지 모르지만 제게는 특정 편이 없다. 모두가 잘 돼야 한다”며 노동계와 사용자 모두를 향한 균형적 접근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양대노총 위원장을 직접 뵙게 돼 반갑다. 진심으로 보고 싶었다”며 환영 인사를 전했다. 이날 오찬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문진영 대통령실 사회수석, 강유정 대변인도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