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수소차 보급이 매년 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내년도 관련 예산을 감액하기로 하면서 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수소차 시장 규모가 작고 인프라가 부족해 사업 확장성에 한계를 드러낸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5일 수소경제 종합정보포털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수소차 등록대수는 △2021년 1만9404대 △2022년 2만9623대 △2023년 3만4258대 △2024년 3만7557대 △2025년(6월 기준) 3만9140대 등으로 집계됐다. 수소차 보급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2018년 이후 증가세다.
수소산업을 뒷받침할 예산은 오히려 줄고 있다. 최근 3년간 수소산업 전체 예산은 △2023년 3339억2500만원 △2024년 2807억1900만원 △2025년 2610억원으로 집계됐다. 집행 부진과 사업 우선순위 조정 등을 이유로 내년도 수소차 관련 예산도 크게 줄었다. 내년도 수소차 보급 지원과 수소승합차 예산도 올해 대비 각각 1125억원‧325억원 감액됐다.
이 같은 예산 삭감에 수소차 시장 공략에 나선 업계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7년 만에 완전 변경된 신형 수소차 ‘디 올 뉴 넥쏘’를 출시하고 수소차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KGM은 PHINIA(피니아)와 수소 엔진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오는 2027년 수소버스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예산 축소가 업계의 수소차 활성화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인프라 부족과 열악한 기술 지원에도 수소 경제 구축에 힘쓰고 있는 상황에서 예산 삭감이 이뤄지면 어느 기업이 수소차 시장에 적극 발을 내디딜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오는 2040년까지 수소차 수백만대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설정해놓고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9년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오는 2040년까지 620만대로 늘리고, 수소충전소도 1200곳으로 확대하는 등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와 달리 현재 수소차 등록 대수는 4만여대에 불과하고, 충전소는 229곳 밖에 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처럼 정부의 당초 목표에 차질이 빚게 된 배경에는 글로벌 수소차 시장 경쟁 약화와 국내 인프라 부족 등 시장 확장성 한계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이로 인한 수소차 관련 예산 삭감이 불가피했을 것이란 관측이다.
문학훈 오산대학교 미래전기자동차과 교수는 “2018년 처음 수소차가 등장했을 때만 해도 수소차 사업에 대한 성장 기대감이 매우 컸지만, 글로벌 수소차 시장 경쟁 약화와 국내 인프라 부족 등 여러 제약으로 제동이 걸린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도 수소차 관련 예산 삭감은 이러한 수소차 시장 확장성에 대한 한계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문 교수는 수소차 시장 확장성 한계와 관련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완성차 업계가 수소차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