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9일 “실제 두 기업간 합병 및 지분 스왑이 이루어지면 네이버는 새로운 성장 스토리를 얻을 수 있으며 송치형 의장은 합병법인 지분을 기반으로 네이버의 최대주주가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조 연구원은 “지배구조 개편의 첫 단추는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의 통합”이라면서 “기업가치 가정치는 두나무 16조원, 네이버파이낸셜 4조원”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른 합병비율은 두나무 80% 대 네이버파이낸셜 20%다. 이 비율에서 송치형 의장의 두나무 지분(25%)은 합병법인 전체의 20%로 환산된다.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 지분 69%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합병법인 지분의 13.8%를 차지한다.
그는 “합병 직후 기준 합병법인의 지분은 송치형 20%, 네이버 13.8% 나머지는 두나무 및 네이버파이낸셜 소수 주주들이 보유하는 그림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조 연구원은 네이버-송치형 의장 간 지분 스왑 방법이 유력한 이유에 대해 “단순 지분 스왑만으로도 충분히 지배구조가 성립하는 상황에서 주주반발과 규제리스크, 재상장 심사에 대한 부담까지 동반하는 방법을 선택할 이유는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그는 “기존 두나무 주주들도 단독 상장보다는 합병 후 글로벌 상장이 더 매력적”이라면서 “규모가 커지고 스토리가 확장되면 시장에서 훨씬 높은 가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두나무 단독 상장 시 기업가치는 20조~25조원 수준이나 두나무-네이버파이낸셜 합병으로 인한 지분가치 훼손이 발생함에도 불구 최종적으로는 합병 상장 시 단독 상장보다 최소 1.5~2배 이상 더 높은 가치를 얻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조 연구원은 “만약 두 기업이 합병 후 상장하면 최소 40조~50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그는 “네이버파이낸셜의 주요 주주인 미래에셋증권도 보유 지분 가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어 반대할 명분이 크지 않다”면서 “합병 법인이 높은 기업가치로 상장을 약속하면 기존 투자자들은 모두 동의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